Cited 0 times in
충북 일부 여성 근로자들의 산업장 건강 관리실 이용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미애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0T05:14:18Z | - |
dc.date.available | 2015-11-20T05:14:18Z | - |
dc.date.issued | 1992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445 | - |
dc.description | 간호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본 연구는 충북 일부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산업장 건강 관리실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근로자 측면에서 분석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 관리실 이용도를 파악하였고, 둘째, 건강관리실에 대한 지식정도와 건강 관리실 이용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셋째, 건강 관리실에 대한 선호태도와 건강 관리실 이용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넷째, 대상자들의 건강문제에 따른 건강 관리실 이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은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공업 단지내 일 방직공장 여성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1991년 7원부터 9원까지 설문지 조사하였고, 그 중에서 분석이 가능한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PC+를 이용하여 X**2-test 와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근로자의 연령분포는18-26세 이었고, 94.3%가 미혼이었으며. 근무경력은 3년 이하가 55.4% 이었다.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관리실 이용도는 근로자의 연령, 임금, 주거형태, 이직경력, 근무연한 등의 특성 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고,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 이 비슷하며 변수의 분포가 편중되어 있어 건강 관리실 이용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둘째, 건강 관리실에 대한 지식정도와 건강 관리실 이용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건강 관리실에 대한 지식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셋째, 건강 관리실 이용도에 미치는 건강 관리실에 대한 선호태도요인으로는 근무부서와 건강 관리실과의 거리, 간호사의 태도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건강 관리실과 근무 부서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건강 관리실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호사의 태 도가 친절할수록 건강 관리실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 관리실 이용도와의 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각증상 유무와 앓은 기간이 건강 관리실 이용도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자각중상이 있을수록 건강 관리실 이용도가 높고, 앓은 기간이 길수록 건강 관리실 이용도가 높았다. 위의 결과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를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건강 관리실 이용도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사의 태도, 건강관리실과 근무부서와의 거리, 자각증상 유무 등의 변수가 선정되었고, 확률 위험비는 자각증상 유무 3.0, 건강 관리실과 근무부 서와의 거리 2.1, 간호사의 태도가 2.0, 1.3으로 나타났다. 즉 자각증상이 있는 근로자들이 자각증상이 없는 근로자에 비하여 건강 관리실을 이용할 확률이 3배로 놓았고, 근무부서와 건강 관리실 거리가 짧은 근로자들이 거리가 먼 근로자들보다 건강 관리실 이용할 확률이 2.1배 높았으며, 간호사의 태도가 친절하다고 인지한 근로자가 불친절하다고 인지한 근로자보다 건강 관리실을 이용할 확률이 2배 높았고, 간호사의 태도가 보통이라고 인지한 근로자들은 불친절하다고 인지한 근로자보다1.3배 높은 건강관리실 이용확률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불때 건강 관리실의 이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건강 관리실과 근무부서의 동선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 져야하겠고, 건강 관리실 간호사의 태도를 긍정적인 이미지로 부각시킬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하며, 자각증상이 있는 근로자뿐 아니라 자각증상이 없는 근로자 즉 건강한 근로자도 건강 관리실과 연계성을 갖는 방안이 검토될 때, 건강 관리실 운영이 활성화되리라고 사료된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in a medical dispensary of textil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urpose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attitude and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health and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in 1991 at a textile factory in Cheongju,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women workers and then analysed for 286 women who returned complete data using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by SPSS-P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study were from 18 to 26 year old, mostly single, and half of them have worked under 3 yea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a medical dispensar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the subjects were under the almost sane situ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were preponderant.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a medical dispensary and the knowledge concerning the medical dispensary. 3. The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at the service attitude factors were the distance from workplace and the nurse's attitude. The shorter distance from workplace was, and the kinder nurse's attitude was, the higher utilization rate was. 4. The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at the status of health factors were the perceived symptom and the duration of illness. The more perceived symptoms were, and the longer duration of illness was, the higher utilization rate was. 5. The stepwise mu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were the perceived symptom (OR=3.0), distance from workplace(OR=2.1), nurse's service attitude(OR=1.3, 2.0),respectivel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women workers who have perceived symptom was 3 times higher probability than those who have not perceived symptom. The utilization rate of the women workers who live near medical dispensary was 2.1 times higher probability than those who live far from medical dispensar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women workers who think the nurses' attitude kind was 2.0 times higher probability than those who do not think the nurses' service attitude kind, and it was 1.3 times higher in those who think them genera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distance from workplace needs shorter, consideration of perceived symptom, and the nurses' service attitude demand kinder for improvement in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on the medical dispensary.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prohibitio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충북 일부 여성 근로자들의 산업장 건강 관리실 이용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women workers in a medical dispensary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Mi Yae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