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547

Cited 0 times in

과체중아의 임상통계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문희-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4:12Z-
dc.date.available2015-11-20T05:14:12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441-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과체중아는 출산시 체중이 400lgm이상인 출산아를 의미하며 태아의 출산, 성장, 발육, 주산기사망 및 이환율에 이르기까지 정상체중아 보다는 불리한 점이 많다. 1970년 1월부터 197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전주예수병원과, 원주기독병원에서 출산한 과체중아 409예에 대하여 임상통계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과체중아 출산비도는 3.6퍼센트였으며 주산기사망율은 34.2였다. 과체중아의 연도별 출산율은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병원별 과체중아의 출산비도는 세브란스병원이 3.7퍼센트, 전주예수병원이 3.4퍼센트, 원주기독병원이 2.5퍼센트로 세브란스병원 출산아에서 다소 많았다. 2. 출산아의 남여비는 1차성비가 146:100, 2차성비가 145:100으로 남아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주산기사망율은 남아가 약간 높았다. 3. 임산부 연령은 39세까지 임산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과체중아 출산빈도는 증가하였으나 임산부 연령이 40세가 넘으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4∼7회 분만까지는 분만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과체중아 출산율은 증가하였으나 8회이상 분만시는 과체중아 출산율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체중아의 분만방법은 대부분이 자연 질식분만과 감자분만이었다. 분만시 태위는 두위가 94.5퍼센트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주산기사망율은 정상태위시 23.3으로 이상태위 181.8보다 현저히 낮았다. 과체중아의 산과적 합병증은 임신중독증 및 조기파수가 전체합병증의 89.2퍼센트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산과적 합병증은 동반된 과체중아의 주산기사망율은 115.8로 산과적 합병증이 없는 과체중아의 주산기사망율 9.6보다 월등히 높았다. 5. 재태연령 42주까지는 재태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출산빈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재태연령이 43주가 넘으면 약간 약소하기 시작하였다. 재태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주산기사망율은 감소하였으나 출산시 체중에 따른 주산기사망율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높아지었다. 6. 과체중아의 주산기사망율은 정상체중아의 주산기사망율보다 약간 높았으나, 저체중아 주산기사망율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7. 선천성기형 발생빈도는 7.8퍼센트였으며, 소화기계 25.0퍼센트, 피부계 21.9퍼센트, 비뇨생식기계 18.7퍼센트, 골격계 12.5퍼센트의 순이었다. [영문]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igh birth-weight infants and normal birth weight infants in growth, development, perinatal death rate, morbidity, etc.. Accordingly, if the statistics for normal birth weight infants are applied to high birth-weight infants, the results are inappropri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high birth-weight infants in regards to the hospital, year, sex, maternal age, parity, gestational age, delivery type, presentation at birth, and any observed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make comparisons with other reports of Korean and Western workers. We have observed high birth-weight infants among 11,336 Korean babies born at Severance Hospital, Jeon-Ju Presbyterian Hospital and Won-Ju Christian Hospital for the 3 yeats from Jan. 1970 through Dec. 1972. 4. Obstetric complications of high birth-weight infants were toxemia(55%), SPRM(34.2%), etc.. 5. The number of high birth-weight infants progressively increased according to prolonged gestational age and up to 42 weeks of gestational age, but decreased slightly after 43 weeks of gestational age. Perinatal mortality rate of high birth-weight infants decreased according to prolonged gestational age, but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body weight at birth. 6. Perinatal mortality rate of high birth-weight infants were much lower thant that of low birth-weight infants, but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birth-weight infants. 7. Associated congenital anomaly of 409 high birth weight infants numbered 32(7.8%) and were of the digestive system, skin, genitourinary, muscular and bony system.-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과체중아의 임상통계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of high birth-weight infant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1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oon H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