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maternal and fetal factors on the growth of the biparietal diameter(BPD) in pregnant Korean women
Authors
윤태기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산전관리에서 태아의 크기, 연령 및 발육상태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적절한 분만시기를 결정함으로써 신생아 사망율을 철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초음파가 산과영역에 도입된 이래 이 분야에 많을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태아의 양두정골간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는 태아의 자궁내 성장 및 성숙도를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하며 흔히 쓰이는 방법이라 하였다(Campbell과, Dewhurst,
1971 : Willocks와 Dunsmore, 1971 : Levi등, 1973).
임신중 아두대횡경의 성장은 임신 30주까지는 비교적 빠른 성장을 나타내나, 그 이후 둔화되며 임신 말기에는 거의 평행선을 이루게 된다고 하였다(Deter등, 1981). 태아의 성장도(growth capacity)는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이차적으로 모체의 내분비기능, 영양상태
, 면역상태 및 외적환경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임신기간 동안 태아의 자궁내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모체 및 태아의 여러요인(factor)들과 아두대횡경 성장도와의 상관관계를 알려고 함이다. 즉 정상 임산부에서 아두대횡경의 성장도를 알고, 어떤 요인이 있는 임산부의 아두대횡경 성장도와 비교
분석하고, 출생시 태아의 체중과 비교하여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원인을 알고자 함이다. 1977년 4월부터 1982년 3월까지 만 5년간 세브란스병원 및 제일병원 초음파실에서, 마지막 월경일이 확실한 임산부 3,136명을 대상으로 총 3,411회의 초음파 아두대횡
경 계측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 임산부에서 아두대횡경 성장 회귀곡선은 Y=-29.133 + 4.001 X-0.000584X**3, (Y=BPDmm, X=gestational week), R**2=0.925였다.
2. 비교군에서의 아두대횡경 성장회귀곡선과 위의 정상 성장회귀곡선과 비교한 결과
1) 산모의 연령, 출산 회수, 임신 말기 체중 등은 아두대횡경성장에 의의있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남아의 아두대횡경 성장은 정상 성장회귀곡선 보다 높은 아두대횡경 성장도를 나타내며, 여아에서는 정상보다 낮은 성장도를 보이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3) 과체중아는 정상 성장회귀곡선보다 의의있게 높은 아두대횡경 성장도를 나타내며, 저체중아에서는 의의있게 낮은 성장도를 보였다.
4) 임신중 모체의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고혈압, 조산, 빈혈, 둔위, 임신중독증, 초기임신출혈, 조기파막, 전치태만 및 태반조기박리)에는 모두 정상 아두대횡경 성장곡선 보다 낮은 성장도를 보이나 이중 전치태반 및 태반조기박리군에서만 의의있게 낮은 성장도를 나타내었다.
[영문]
The size of fetus at berth is the result of various processes during intrauterine life. Genetic, nutritional, environmental, uteroplacental and fetal factors have been suggested to influence the fetal growth.
This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r the growth during pregnancy used ultrasound to follow the change of the biparietal diame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normal growth rate of biparietal diameter in fetus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 biparietal diameter of some maternal and fetal factors known to influence berth weight.
Of 3,136 patients, 3,411 ultrasonic biparietal diameter measurements were analysed. The range of biparietal diameter values was determined weekly during the 20th -42nd week of pregnancy and cross-sectional data was used to illustrate the
variation in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maternal and fetal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ormal growth curve of the BPD is
Y=-29.133+4.001X-0.000584X**3(Y=BPDmm, X=week of gestation)
R**2=0.925
Standard Deviation=3.77
2. Comparisions were made between the normal curve and the growth curves of the factors studied
1) Maternal age, parity and paturient term pregnancy weight were not found to affect the BPD growth significant1y.
2) Male infants showed a mean BPD value larger than normal curve and female infants had a mean BPD value lower than normal curve, but not of significant1 value.
3) The mean BPD values during the 20th - 42nd week of gestation showed a significant faster rate of growth for heavy infants, while light infants indicated a slower rate of growth.
4) Maternal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such as hypertension, preterm delivery, anemia, breech, toxemia, bleeding in early pregnancy,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all showed slightly lower BPD values than the normal curve but this was thought not to be of significance. However placenta previa and abruptio placenta group showed a significant lower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