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06

Cited 0 times in

광화학 전신요법에서 Khellin의 투여 용량에 따른 표피내 색소세포의 변화 및 Trimethylpsoralen과의 비교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문수-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1:14Z-
dc.date.available2015-11-20T05:11:1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32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Khellin은 Ammi visnaga라는 실물에 존재하는 furochromone 화합물로써 1940년대와 50년대에 협심증의 장기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던 약물로써 1982년 abdel-Fattah등이 8-methoxypsoralen과 기본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백반증 치료에 사용하여 우수한 효과를 보았으며 특히 다른 광독성 약물과는 달리 피부에 광독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안전하다고 하였다. Honigsmann등도 khellin 투여 후 UVA 조사가 기존의 PUVA 치료와 적어도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광화학 전신요법에 있어서 khellin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수 편의 보고가 있으나 색소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고는 찾아볼 수 없어 저자들은 이를 규명하고 나아가 현재 백반증의 광화학 전신요법에 널리 쓰이는 trimethylpsoralen이 색소세포에 미치는 영향과 비교 연구하였다. 흑색 마우스 90마리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광화학 요법군으로 나누었고, 대조군은 UVA단독 조사군과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등 3개의 소집단으로 광화학 요법군은 TMP 1.5mg/Kg 투여군, khellin 5mg/Kg투여군, khellin 20mg/Kg 투여군등 3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었 다. 광화학 요법은 약물을 복강내 주사하고 1시간 후에 Waldmann UV800을 이용하여 UVA를 조사하였으며 1회 조사량은 4 J/cm**3 였으며 주 3회씩 4주간 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매주 귀에서 피부조직을 생검한 뒤 split-DOPA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 400배 하에서 표본당 무작위로 선택된 10군데에서 색소세포 수를 세었으며 투사현미경, graphic tablet과 IBM-PC Digitizer DT-3100을 이용하여 1000배에서 표본당 무작위로 선택된 15개의 세포에서 면적과 둘레길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OPA 양성 색소세포 수의 변화 :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을 제외한 보든 소집단에서 UVA 조사 횟수에 따라 색소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광화학 요법군이 대조군보다 색소세포 수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광화학 요법군에서 khellin은 투여 용량에 따라 색 소세포 수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 효과 용량에서는 TMP가 khellin보다 더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색소세포 수의 증가는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 〈 UVA 단독 조사군 〈 khellin 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TMP 1.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khe llin 20mg/Kg 투여 후 UVA 조사군의 순이었다. 2) DOPA 양성 색소세포 면적의 변화 : 색소세포 면적은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소집단에서 UVA 조사 횟수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광화학 요법군이 대조군보다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광화학 요법군에서 khellin은 투여 용량에 따라 색소세포 면적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 효과 용량에서는 TMP가 khellin보다 더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색소세포 면적의 증가는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 〈 UVA 단독 조사군 〈 khellin 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TMP 1.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khellin 20mg/Kg 투여 후 UVA 조사군의 순이었다. 3) DOPA 양성 색소세포 둘레길이의 변화 :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소집단에서 UVA 조사 횟수에 따라 색소세포 둘레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광화학 요법군이 대조군보다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광화학 요법군에서 khellin은 투여 용량에 따라 색소세포 둘레길이에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 효과 용량에서는 TMP가 khellin에 비해 더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색소세포 둘레길이의 증가는 khellin 20mg/Kg 단독 투여군 〈 UVA 단독 조사군 〈 khellin 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TMP 1.5mg/Kg 투여 후 UVA 조사군 〈 khellin 20mg/Kg 투여 후 UVA 조사군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광화학 전신 요법시 khellin은 TMP의 동일 효과 용량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지나 우수한 색소 침착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투여 용량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백반증에서는 우수한 색소 침착 효과가 있으면서도 피부에 광독성 반응을 유발하지 않아 기존의 PUVA요법보다 안전한 khellin을 이용한 광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Khellin, a naturally occuring furochromone isolated from Ammi visnaga, shares some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8-methoxypsoralen. It was used for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in the 1940s and 50s. In 1982, Abdel-Fattah et al. presented a preliminary report on the successful use of oral khellin followed by exposure to natural light in patients with vitiligo. Honigsmann and Ortel also reported that khellin plus artificial UVA was at least as effctive as PUVA. The major adventage of khellin photochemotherapy is that it does not provoke photoxic skin reaction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ed evaluation of the pigment producing effect of khellio in systemic photochemotherapy. For these reasons, we have tested the pigment producing effect of various dosages of khellin and compared khellin with trimethylpsoralen(TMP), which is widly used in photochemotherapy for vitiligo, in systemic photochemotherapy. Ninety black mice were divided inhto control and photochemotherapy groups. Control group was subdivided into a UVA irradiation only group and a khellinonly administration group, while the phototherapy group was subdivided into one TMP and two khellin administration groups with dosages of 1.5mg/Kg, 5mg/Kg and 20mg/Kg, respectively. UVA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a week in a dose of 4J/cm**2 for 4 weeks. Skin biopsies were taken at 0, 1, 2, 3 and 4 weeks and the split-DOPA stain was employed to observe pigment production. The number, size and circumference of the melanocytes were assessed for the above purpos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of DOPA-positive melanocytes in the epidermis : In the phototherapy group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melanocy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the sam effective doses, the TMP treated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the number of melanocytes compared with the khellin treated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different dose groups of khellin. 2) The size of DOPA-positive melanocytes in the epidermis : The size of melanocytes in all groups except the khellin only administration group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UVA exposure. The photochemotherapy group showed a marked increase in the circumferenc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order of low dose khellin group, TMP group and high dose khellin group, respectively. The size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high dose group than in the low dose group of khellin. 3) The circumfrerence of DOPA-positive melanocytes in the epidermis: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circumference of melanocytes in the phototherapy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order of low dose khellin group, TMP group and high dose khellin group respective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dose groups of khellin. In summary, our results indicate that khellin, which is slightly less effective than TMP at th same effective dose, is quite effective for pigment production and that the degree of the production is dose-related. We suggest that khellinis a safe therapeutic agent for vitiligo and recommend that it is used to avoid the phototoxicity inherent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광화학 전신요법에서 Khellin의 투여 용량에 따른 표피내 색소세포의 변화 및 Trimethylpsoralen과의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 of various dosage of khellin on epidermal melanocytes and a comparison with trimethylpsoralen in systemic photochemotherap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6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Moon S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