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38

Cited 0 times in

인구 사회학적 변수와 가정건강문제 결정권 소재 및 산전간호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대영-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8:17Z-
dc.date.available2015-11-20T05:08:17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213-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1956년이래 우리나라의 모자건강사업은 계속 추진되어 왔고, 모자건강사업의 척도인 모성사망, 주산기사망, 영아사망율은 점차적인 감소의 경향을 보이긴 하지만 선진국에 비교하면 매우 높은 사망율이다. 모자건강사업의 계획과 집행은 대상주민의 인구사회학적특성 및 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야만 효율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건강문제 결정권과 산전간호「인덱스」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분석 2) 가정건강문제 결정권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의 관계파악 3) 산전간호 「인덱스」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의 관계파악 연구자료는 연세대학교 간호학연구소와 인구 및 가족계획연구소에서 1974년 7월 19일부터 29일까지 10일간에 걸쳐 조사한바 있는, 「건강 및 간호요구와 사회제도에 관한 소지역 종합연구」을 위한 자료중에서 모성건강에 관한 사항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가구는 총251가구로서 가정건강문제 결정권에 대한 연구대상이 251가구이며, 이중에서 산전간호 연구대상 32가구를 임신에서 분만후 6주이내 부인으로 선택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는 X**2 -test와 t-test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평균연령 35.6세로서 중년부인 층이며, 산전간호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29.8세로서 30대 미만의 부인층이었다. 교육수준은 국민학교 이하이고, 경제수준은 중이하이다. 2. 가정건강문제 결정권 소재와 인구, 사회학적 변수와의 관계는, 가정건강문제 결정권에 영향을 수는 변수는 연령, 경제수준이었고, 아들수, 교육수준, 어머니회 참여는 결정권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3. 인구적 특성과 산전간호와의 관계는 연령이 젊고, 아들이 없고, 임신소모가 많은 부인에서 산전간호 「인덱스」 점수가 대체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7적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는 아니었다. 4. 사회학적 특성과 산전간호와의 관계는 경제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은 부인에서 산전간호「인덱스」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어머니회 참여는 산전간호에 영향이 없었으며, 문명이기 사용도가 높을수록 산전간호 「인덱스」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기타변수와 산전간호와의 관계는, 가정건강문제 결정권이 부인에게 있는 경우와, 산전진찰 필요 이유를 알고 있는 경우에 비교적 높은 평균의 산전간호「인덱스」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선택한 인구 사회학적 변수는 대부분, 가정건강문제 결정권 소재와 산전간호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3개의 변수외에 유의한 영향이 아니었으므로, 좀더 연구 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Korea has been implement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since 1956. Even though there is a tendency toward declining maternal, perinatal and infant mortality, they are still much higher than in developed countries, the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should be based on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 in order to obtain effectiveness of the servic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tudy objectives: 1. To describ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maker regarding family health and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3.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and a prenatal nursing care index. The study poulation defined and selected was all of the eligible women, curruntely married housewives (N=251) aged under 49, living in Kang Wha Island, Korea. Data of the presented analysis were obtained from "A Comprehensive Study about Health and Nursing Need, and a Social Diagram of the Community, conducted by the Nursing Research Institute and Center for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Yonsei University during July, 1974.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bove data was X**2 -test and t-test. The finding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The total population's average age was 35.6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the 32 prenatal care cases was 29.8 years old.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had a primary school level of education, and their economic status was middle lower class. 2.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decision maker and the demorpraphic and social variables: Variables which influenced family health decision maker were age, economic level, having a son and educational level. Attending mothers club meeting had no influence.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natal nursing, the group of younger mothers with no sons and having more pregnancy wastage and a tendency for higher prenatal nursing care,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4.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characteristics so prenatal care,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also had a tendency for higher prenatal nursing car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mother club meetings and prenatal care. The group having higher index of modernity also had a higher prenatal nursing care index,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n the relationship of other variables to prenatal care, the group of women who were decision maker about family health problems and who realized the reasons and needs for prenatal nursing care had a tendency of a higher prenatal nursing care index. This was, however,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인구 사회학적 변수와 가정건강문제 결정권 소재 및 산전간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emographic, social and pther characteristics as variables influencing prenatal care and family health decision maker in a rural area of Korea-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7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n, Dea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