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90

Cited 0 times in

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는 흔한 급성질환의 중점적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형규-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6:27Z-
dc.date.available2015-11-20T05:06:2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14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일반적으로 응급수술은 계획수술에 비하여 수술후 사망율, 이환율 및 합병증이 높으며, 환자의 상태가 중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요한다. 외과 영역의 응급수술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그리 많치 알으며 특히 한국에서 외과 영역의 응급수술에 대한 전반적 현황보고는 없다. 이에 저자는 1982년 1월 1일 부터 1983년 12월 31일까지 만 2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외과학 교실에서 응급수술을 받은 1167예의 임상기록을 조사 분석하여 응급수술 받은 환자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또한 여기에 수반되는 문제점들을 고착하여 향후 응급수술 받을 환자를 치료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년간 시행한 응급수술은 1167예로 동기간내 외과 수술 5658예의 21%를 차지하였다. 2. 급성 충수염이 전체의 4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장폐색증(14%), 급성 복막염 (11%), 혈복강(6%)의 순이었다. 3. 전체 성별 발생빈도는 1.5:1로 남자가 많았으며, 복막염은4.2:1, 혈복강은 3.4:1,상부 위장관 출혈은 7:1로 남자가 많았다. 4.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가장 많았고, 질환별로는 급성 복막염과 혈복강은 30대, 급성 충수염은 20대, 상부 위장관 출혈은 40대에 가장 많았다. 5. 응급수술의 평균 수술 시간은 1.9시간이었으며, 3시간 미만이 총 응급수술환자의 88%를 차지하였다. 6. 입원기간은 8일 이내가 26%, 9일∼ 14일이 이상이 38 %, 15일이상이 36%이었으며, 혈복강과 담도계질환 환자들의 질환에 비해 길었다. 7. 수술실까지의 경로는 응급실에서 직접 수술실로 간 경우가 77%였으며, 입원실에 입원중 응급수술 받은 환자는 23%로, l1%는 외과에 입원중이었고, 12%는 타과 특히 내과에 입원중 응급수술을 필요로 했다. 8. 급성 범발성 복막염의 원인질환은 십이지장 궤양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위궤양, 외상성 장손상, 급성 충수염, 장티푸스에 의한 장천공 및 담즙성 복막염 순이었다. 9. 혈복강시 과열된 장기의 빈도별 순서는 간, 비장, 장간막 혈관, 대망 혈관의 순으로, 원인은 교통사고가 가장 맡았다. 10. 담도계 질환은 담낭 농양이 76 %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담낭염 15 %, 담도석에 의한 담도염 9 %순이었다. 1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위궤양이 54 %, 십이지장 궤양과 식도 정맥류 출혈이 각각 17%, 출혈성 위염이 4%등이었다. 12. 응급수술후 합병증은 23.9 %에서 있었으며 창상 감염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호흡기 합병증, 패혈증 순이었다. 반면에 계획수술은 10.5 %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13. 응급수술의 사망율은 1.8 %로 계획수술의 0.2%에 비해 9배 높았으며 질환별로는 혈복강이 10.6%, 복막염이 5.3%, 상부위장관 출혈이 4.2% 담도계 질환이 3.9% 이었다. 14. 응급실 내원후 수술까지의 시간은 2∼ 4시간 소요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수술 준비시간이 길수록 수술후 사망율이 높아졌다.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해 4가지 인자를 생각하였다. Factor Ⅰ 진단에 요하는 시간 Factor Ⅱ 환자의 상태를 호전 시키는데 요하는 시간 Factor Ⅲ 입원수속과 수술승락에 요하는 시간 Factor Ⅳ 병원사정으로 지연된 시간. 즉 응급환자에 대한 병원자체의 시설용량, 수술실, 입원실사정, 마취과, 외과 의사의 사정들이 여기에 포함되었다. 응급수술의 준비시에 행정부서를 포함한 병원의 여러과들이 신속하게 준비하여, 수술 준비시간을 최대한으로 줄여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Emergency surgery is accompained by a much higher incidence of postperative mortality, morbility and complications than elective surgery. Needless to say, emergency surgical patients are usually seriously ill requiring prompt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The studies concerning emergency operations have been woefully inadequate. This study is a review of 1167 cases of emergency operation in General surgery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during 2 years period from Jan. 1, 1982 to Dec. 31, 1983.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Emergency operations constituted 21% of all operations in General surgery during this 2 year period. 2) Among the 1167 cases of emergency operations acute appendicitis constituted 495 cases(42%), panperitonitis 131 cases(11%), intestinal obstruction 168 cases(14%), and hemoperitoneum 66 cases(6%). 3) The seasonal variation indicated the higher incidence in summer and the lowest incidence inwater. 4) The sex distribution was male predominant with a ratio of M:F=1.5:1, in panperitonitis M:F=4.2:1, in hemoperitomeum M:F=3.4:1, and in UGI bleeding M:F=7:1. 5) The age incidence revealed a greater prevalence in the 3rd decade. 6)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9 hours and about 88% of the cases of emergency surgery were finished within 3 hours. 7) The hospital stay was within 8 days in 26% of cases, from 9 to 14 days in 38%, longer than 15 days in 36%, and most prolonged in emergency biliary surgery. 8) Channel of admission to the operating room; patients directly fro emergenct room constitute 77%, patients from ward during admission constitute 23%. 9) Most common cause of panperitonitis was duodenal ulclear perforation followed by gastric ulcer perforation, traumatic hollow viscus rupture, acute appendicitis rupture, typhoid enteritis perforation and finally bile peritonitis, in that order. 10) The common injured organs in hemoperitoneum were liver(32%), spleen(22%), mesenteric vessel(18%), omental vessel(12%). The most common cause was traffic accidents(58%). 11) The emergency biliary diseases were G.B. empyema and acute cholecystitis(91%),and acute cholangitis with CBD stone(9%). 12) The common causes of U.G.I bleeding were gastric ulcer(54%), duodenal ulcer(17%) and esophageal varicial bleeding(17%). 13) The post 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23.9%. 14) The overall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1.8%, in emergency surgery but only 0.2%, in elective surgery. 15) The most common duration from the E.R. to operating room was from 2 to 4 hours and 4 factors were suggested in order to prevent delaying surgery. FactorⅠ: Time expended in determining diagnosis. Ⅱ: Time expended in improving patient's general condition Ⅲ: Time expended in admission formalities and operative permission Ⅳ; Time expended due to hospital circumstances such as surgeon, anesthesiologist and operation room circumstances. We should try to shorten the time intenval with systemic and prompt management of the above facto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는 흔한 급성질환의 중점적 분석-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study of common emergency operation in general surger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6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Hyung Kyu-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