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824

Cited 0 times in

물리치료사의 스트레스 크기와 소진 경험상태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영화-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4:58Z-
dc.date.available2015-11-20T05:04:58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085-
dc.description보건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고도의 산업발전과 과학의 발달은 현대인으로 하여금 질적으로 높은 의료를 기대하게 하였고 의료분야에 전문직을 가진 사람은 완벽에 가까운 역할수행을 할 것을 원한다. 이러한 기대는 전문인력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소진 경험의 크기를 크게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인 노동을 하는 전문직이면서도 육체적인 활동이 심한 물리치료사의 스트레스 크기와 소진 경험 크기를 알아보고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므로서 바람직한 근무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전문직으로서의 발전을 모색하고저 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5개 병원, 경기도 소재 25개 병원에 정식직원으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206명이었으며, 1990년 4월 7일부터 4월 14일 사이에 구조화된 조사표를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김(1988)이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물리치료사들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소진 측정도구는 Pines등(1981)이 개발하여 믹(1983)이 번역,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317이였고, 소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821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전산통계처리로,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크기는 실수와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크기와의 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일반적인 특성과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크기와의 관계규명은 ANOVA와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측정한 스트레스의 이론적 최저값은 43, 최고값은 215인데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점수는 최저값이 93점, 최고값이 202점이였고, 평균은 144.00점 표준편차는 21.86이였다. 2. 스트레스 범주중에서 문항별로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크기가 가장 큰 것은 '환자 행동' 부문에서 "환자가 제대로 치료에 협조하지 않는 경우"(3.75), '치료사 자신' 부문에서 "자신의 직업에 대해 충분히 만족하고 있지 못한 경우"(3.34), '역할과 치료지 식'부문에서 "계속교육을 통해 치료사 스스로 발전할 기회가 없는 경우"(3.81), '대인관계' 부문에서 "환자 치료에 무관심하고 타성에 젖은 치료사와 함께 일할 경우"(3.58), '직장에서의 장래성과 지원'부문에서 "치료업무에 비해 봉급이 적을경우"(4.05), '치료업 무 및 근무시간' 부문에서 "치료업무가 과중할 경우"(3.83)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크기는 ANOVA와 t-test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중 연령, 최종학력, 근무년한, 월평균임금, 직위와 스트레스 평점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소진경험 크기는 ANOVA와 t-test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중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근무년한, 월평균 임금, 직위와 스트레스 평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소진경험 크기는 ANOVA와 t-test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중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근무년한, 월평균임금, 직위, 일일 평균환자수와 소진경험 평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5. 대상자의 소진경험 평점은 "근무를 마치고 나면 지친다"(3.47)가 가장 높았고,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평점과 소진경험의 평점과는 Pearson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r=0.3899, P<0.05), 각 스트레스 측정부문별 스트레스 평점과 소진경험 평점과도 Pearson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소진경험의 크기도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고 근무년한이 짧을수록 심하였고, 최종학력이 낮고 월평균임금과 직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와 소진경험크기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스트레스나 소진경험 정도의 완화를 위해서는 물리치료사 자신의 자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으며, 물리치료사를 고용하고 있는 병.의원에서도 효율적인 환자치료와 바람직한 병원 운영을 위하여 근무조건의 개선에 좀 더 힘써야 할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High level of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ment of science in recent years encourage people to expect high level of medical care and near-perfect performance by health care providers. Such expect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level of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 by physical therapists who are part office worker and part physical worker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ween stress and burnout,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sirable work environment. The subjects of study were 206 physical therpists who have been employed by 5 hospitals in Seoul and 25 hospitals in Kyungkido province. The informations gathered from April 7, 1990 to April 16, 1990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assessment apparatus for stress was the stress scale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by Kim(1988) and later modified by the author, and the burnout scale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by Pines(1981) and later revised by Pck(1983). The reliability of stress assessment apparatus was = .9317 and that of burnout was = .8821. By utilizing computerized statistics, the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ata on level of stress and burnout were analyzed in frequency, itemiz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burnout level,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and for analysis of cor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versus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 ANOVA and t-test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allows: 1. According to the stress scale used in this study, the lowest theorstical point can be 43 and the highest can be 215. Actual stress level measured in the subjects were ranging form 93 points to 202 points, average being 144 points and standard deviation being 21.86. 2. The highest mean score of stress level in respective categories were obtained in "patients were uncooperative" (3.75) for 'patient behavior' category, "dissatisfaction about his/her own profession"(3.34) for 'physical therapist' category, "lack of opportunity for continuing education"(3.81) for category of 'therapist's ability', "working with indifferent colleagues"(3.58)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tegory, "low income"(4.05) for 'future perspective' category, and "overwork"(3.83) for category of work condition. 3.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level analyzed by means of ANOVA and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stress level and age, educational level, year of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job position(P<0.05). 4.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urnout level analyzed by means of ANOVA and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burnout experience and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year of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job position, daily work-load(P<0.05). 5. As for the mean score of burnout experience, "right after daily work" marked the highest point (3.47). Pes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an score of stress level and mean score of burnout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ship (r=0.3899, P<0.05). Correlation between mean score of stress within each itemized stress categories and mean score of burnout experienc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mary, the level of stress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burnout experience and the extent of stress and burnout level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age, year of work experience, year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job pos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stress and burnout level, it is desirable that physical therapist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 ability whereas employers should try to improve work environm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물리치료사의 스트레스 크기와 소진 경험상태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stress and burnout level experienced by physical therapist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1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Young Wha-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