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561

Cited 0 times in

학교청소년과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정도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선미-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4:51Z-
dc.date.available2015-11-20T05:04:5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081-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현대 산업사회의 급격한 변천 과정에서 파생된 청소년 비행의 증가와 더불어 청소년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그 원인을 규명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청소년 비행의 치료나 예방에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과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정도를 비쿄하여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해 봄으로써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적 조사연구로써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S 남자중학교 2, 3학년 각각 1개반과 H 남자고등학교 1,2,3학년 각각 2개반에 재학중인 만 14세이상의 학생 213명을 학교 청소년으로 표출하였고, 서울소년원에 보호되고 있는 국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만 14세이 상 만 19세미만의 남자 대상자 110명을 소년원생으로 표출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적 지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Norbeck(1781)이 기발한 사회적 지지 질문지를 오가실(1984)이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3년 4휠 1일부터 4월 2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학교청소년과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총 기능적 지지점수는 학교청소년이 평균 258.03점, 소련원생이 평균 309.51점으로 두 군의 총 기능적 지지점수는 학교청소년이 유의하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청소년의 총 기능적 지지점수는 소턴원생의 총 기능적 지지점수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다(t =-3.25, p < .05). 2) 대상자의 총 지지망점수는 학교청소년이 평균 104.75점, 소년원생이 평균 125.30점 으로 두 군의 총 지지망점수는 학교청소년이 유의하게 낮은것으로 나타나 "학교청소년의 종 지지망점수는 소년원생의 총 지지망점수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 2는 기각되었다(t = -3.37, p < .05). 3) 대상자의 지지원별 총 기능적 지지점수는 직계가족, 친척, 기타의 경우에서는 학교 청소년과 소년원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또래집단의 경우애서만 학교청소년이 평균 114.40점, 소년원생이 평균 165.44점으로 학교청소년이 유의하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 = -3.51, p < .001).4) 4) 대상자의 지지원별 총 지지망점수는 직계가족, 친척, 기타의 경우에서는 학교 청소년과 소년원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또래집단의 경우에서만 학교청소년이 평균 47.00점, 소년원생이 평균 67.50점으로 학교청소년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 = -3.93, p < .001). 본 연구의 제한점은 지지원의 질과 상관없이 지지원의 수만 많아지면 지지정도가 높아지고, 지지원의 지지정도를 같은 수준에서 평가하는 도구를 선정했다는 점과 비행애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알기위헤 비행이 이미 일어난 후인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선정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지원애 대한 지지정도를 다른 수준에서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지지원과의 관계에 대한 짙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대상자 선정시 일반 청소년증 무단결석. 가출 등의 비행행위를 하는 청소년과 그럴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추후연구가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in, juvenalle delineuency by comparing the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in school with that of adolescents in a detention horse and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juvenile delinquen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3 S junior and H senior highschool students and 110 adolscents in the S detention home.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developed by Norbeck(1981).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reaearcher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 1993 to April 21, 199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s art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the adolescents in school was 258.03, and for the adolesents in the detention, hom, 309.5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adolescents in school will have a higher mean scope of total functional support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in the detention home was rejected(t = -3.25. p <.05). 2. The mean score for the adolescents in school was 104.75, and for the adolescents in the detention home, 125.30.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adolescents in school will halve a higher mean score of total social support network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in the detention home was rejected(t = -3.37, p <.05). 3.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ean score of total functional support by other supporters(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relatives, and other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ean score of total functional support was by peer group(t = -3.81.p <.001): The mean score for the adolescents in school was 114.40, and for the adolescents in the detention home, 165.44. 4. No difference was fecund between the t재 groups in the lean scored of total social support network by other supporters(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relatives, and other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ean score of total social support network was by paler group(t = -3.93,p <.001): The mean score for the adolescents in school was 41.0, and for the adolescents in the detention home, 67.50.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the adolescents in school wi11 have a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at the detention home was rejected. The results could be related to the wrong choice of instrument arts sampling procedures, especially as it relates to peer support. Consequently, this stu요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which can measur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by different supporters, respectively, is needed and that more studies which can assess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are need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학교청소년과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정도 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in school and adolescents in a detention home-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3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Seon M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