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2201

Cited 0 times in

신생아의 액와 및 직장의 적정체온과 적정 측정시간의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예원-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3:27Z-
dc.date.available2015-11-20T05:03:2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026-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신생아의 첫번 채온 측정은 직장체온 측정방법을 적응하는 대 이는 항문의 천공과 같은 선천적인 기형을 보다 빨리 파악해내고 다른 시간내에 정확하게 체온을 측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생아의 경우 체구가 작아 액와부위가 채간부위에 가깝게 위치하고 피부가까이에 혈관이 위치해 있으며 온도와 습도 및 기류속도가 일정하개 유지되는 신생아실에 있기 때문에 경미한 혈완운동만으로도 체온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액와체온이 직장체온과 유사하며 신생아의 경우에는 해부학적으로 대장이 항문의 3cm깊이에서 앞쪽에서 뒷쪽으로 급격한 각도의 변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항문에서 직장속으로 5cm이상 유리수은 체온계와 같이 딱딱한 물체를 삽입할 경우 흔하지는 않지만 직장천공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불필 요한 직장자극을 주게 되므로 항문열창 밋 항문의 표피박리를 유발시켜 불결한 위생상태에서는 2차적인 감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삭 정상신생아의 껴와 및 직장부위의 적정체온의 차이를 비교하고 액와체온과 직장체온을 측정시 소요되는 적정 측정시간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적 비교조사 연구로 일개 대학부속 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생아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60명을 유의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2년 4훨 6일 부터 5월 10일까지 총 28일이었다. 액와와 직장체온은 표준화시킨 유리 수은체온계를 각 부위에 삽입한 뒤 총 17분 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측정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C를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액와와 직장부일의 적정체온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액와 체온과 직장체온의 적정 측정시간은 누적백분율을, 그리고 액와와 직장부위의 적정체온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정 혀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와와 직장부위의 적정체온 차이는 평균 0.2℃ (0.4。F)로 직장부위의 적정체온과 액와부위의 적정체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넜다(t=13.10, p< 0.01). 2. 액와체온의 경우 전체 대상자의 90%이상이 적정체온에 도달한 시간은 5분이였고, 직장체온에서는 전채 대상자의 90%이상이 적정체온에 도달한시 간은 2분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액와와 직장부위의 적정체온의 차이는 평균 0.2℃(0.4。F)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체온 측정방법을 액와체온 측정방법으로 완전히 대치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보며, 그러나 체온이 정상범주에 있는 신생아의 경우에는 0.2℃(0.4。F)의 차이란 임상에서 어떠한 처치를 결정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만삭 정상신생아의 경우에 한해서 직장체온 대신 액와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또한 액와체온과 직장체온의 적정 측정시간을 각각 5분과 2분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영문]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compare between optimal axillary and rectal temperature recordings and to determine axillary and rectal optimal thermometer placement time in the full-term normal neonates. Sixty full-term normal neonates in the nursery root were se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6, 1992 to May 10, 1992.Both axillary and rectal temperatures were taken simultaneously eight times over a ten-minute period with mercury-in-glass thermometers which were accurately pretested for the Fahrenheight readings. Temperatures were recorded at one, two. three, four, five. seven, nine, and ten minutes without removing the thermome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 SPSS-PC program, real numbers, percentages, cumulative percentages, and paire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ool lows 1. The difference between optimal axillary and rectal temperatures (highest temperature recorded minus 0.2。F ) was showed as 0.2℃(0.4。F ),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2, p<0.01 ). 2. The optimal thermometer placement time( time required for 90% of the subjects to reach optimal temperature ) was five minutes in the axilla and two minutes in the rectum.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placement of a rectal measurement of temperature with an axil leary measurement of temperature cannot be applicable in every neonate. Considering that som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0.2℃(0.4。F ) between axillary and rectal sites in full-term normal babies who are within normal temperature range is not clinically significant, axillary measureient of temperature can possibly be substituted for rectal measurement of temperature but only in the full-term normal baby. From this stud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optical thermometer placement time in axillary and rectal temperatures be five minutes and two minutes, respectivel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신생아의 액와 및 직장의 적정체온과 적정 측정시간의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between optimal axillary and rectal body temperatures and optimal thermometer placement time in the full - term normal neonate-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1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eo, Yea W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