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462

Cited 0 times in

외과적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재석-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3:24Z-
dc.date.available2015-11-20T05:03:2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02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의학의 발달에 따라 사망율이나 사망 양상 및 사망 원인도 변화하고 있다. 외과 영역에서 사망 통계는 어느정도 정확한 질병이 사인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망 양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76년 1월 1일부터 1985년 12월 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외과에 입원중 사망한 433예의 임상기록을 조사분석하여 사망자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고찰하여 향후 외과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입원 사망률은 1.50%이며 수술후 사망률은 0.86%였다. 2. 성별 및 연령별 사망자 분포는 남녀비가 2.1대 이었고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10세에서 19세 사이가 가장 적었다. 3. 응급실로 입원한 환자의 사망률은 3.9%였으며 응급수술 시행후 사망률은 2.1%로 전체 입원 환자의 사망률이나 전체 수술후 사망률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4. 사망자의 원인질환은 비종양성 질환이 73.7%이었고 악성 질환은 26.3%였으며 비종양성 질환중에는 화상이 31.3%로 가장 많았고 악성 질환주에는 위암이 39.5%로 가장 많았다. 5. 연령층에 따른 원인 질환은 10세 미만과 10세에서 39세 사이는 화상을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고 40세이후는 위악성종양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6. 화상으로 인한 사망율은 10.2%였으며 사망자의 65%가 화상범위 51%이상이었다. 7. 외상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율은 15.9%였으며 손상 장기는 후복막이 가장 많았다. 복부 이외에 동반된 손상 장기는 흉부, 사지골절, 골반골절의 순이었다. 8. 장출혈은 사망율이 19.7%였으며 식도정맥류 파열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사망자의 68.4%가 21 pints 이상 대량 수혈을 받았고 재출혈이 되었던 경우가 55.3%였다. 9. 장천공이나 장폐쇄에 의한 사망에서 발병후 내원까지의 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가 67.3%였다. 10. 선천성 기형은 식도 발육부전증이 가장 많았으며 동반기형은 51.7%에서 있었고 선천성 심장질환이 가장 많았다. 미숙아나 저체중아는 27.6%였다. 11. 수술시간에 따른 사망률은 6시간이상에서 3.3%로 가장 높았고 1시간에서 2시간 사이에서 0.5%로 가장 낮았다. 12. 수술전 전신상태는 A.S.A Class Ⅲ이상이 79.9%였다. 13. 사망원인은 패혈증(36.7%), 호흡기부전증(24.0%), 암종증(11.5%)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론으로 연도별 사망예를 볼 때 1976년부터 1980년까지 전반기는 입원 사망율 및 수술후 사망율이 각각 1.75%, 1.05%인데 비하여 1981년부터 1985년까지 후반기는 1.11%, 0.73%로 현격한 감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사망율의 감소는 주로 패혈증에 의한 사망의 감소에 기인한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화상의 범위, 동반 손상 장기, 장출혈시 수혈량, 장천공과 장폐쇄에서 발병후 내원시간, 선천성 기형시 동반 기형의 유무, 수술 소요시간 수술전 전신상태 및 기존 감염증이나 패혈증 유무 등을 중요시 해야 하며 입원환자를 처치함에 있어서 이들 인자를 고려함으로써 사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망 원인으로는 패혈증과 호흡기 부전증이 60.7%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패혈증의 예방, 조기 진단과 치료 및 수술 전후 호흡기 관리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mortality rate, features of the death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The analysis of mortality in surgical field is much helpful to improve the results of proper treatment. This study is a review of 433 cases of mortality in general surgery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during ten year period from Jan. 1, 1976 to Dec. 31, 198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otal hospital death rate was 1.50% and operative mortality was 0.86% in General Surgery during this ten year period. 2. The sex distribution was male predominant with a ratio of m : f = 2.1:1 and the age incidence revealed a greater prevalance in the age over sixty. 3. The mortality rate admitted via emergency room was 3.9% and emergency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2.1%. 4. The most frequent primary disease was stomach cancer (39.5%) in neoplastic group and burn (43.6%) in non-neoplastic group. 5. The most frequent primary disease in the age between 0 and 9, and in the age between 10 and 39 was burn and stomach cancer was most frequent in the age over 40. 6. The mortality rate of burn was 10.2% and 65% of the death were over 51% in extent of burn. 7. The mortality rate of trauma was 15.9% and the most frequently injured organ was retroperitoneum, the associatㄷinjuries of extraabdominal organ were chest injury fracture of extremities and fracture of pelvic bone. 8. the duration of symptom was over 24 hours in 37 cases of intestinal perforation and intestinal obstruction (68.6%). 9. The mortality rate of congenital disease was 8.1% and the most common disease was esophageal atresia. Combined anomalies in congenital disease were 15 cases (51.7%) and the most common anomaly was congenital heart disease. 10. The mortality rat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operation was highest in over 6 hours (3.3%), and lowest (0.5%) in between 1 and 2 hours. 11. Among all cases 167 cases (79.9%) were A.S.A class Ⅲ, Ⅳ or Ⅴ. 12.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sepsis (36.7%) and the next was respiratory failure(24.0%) The mortality rate was decreased annualy mainly due to decrease of the sep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rtality rate-the extent of burn, associated injury in trauma, the amount of transfusion in GI bleeding, the duration of symptom in intestinal obstruction and intestinal perforation, combined anomalies, the duration of operation, preoperative general condition - should be analysed in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in surgical field for the decrease of the mortality. The mortality rate can be reduced by the prevention and proper treatment of the sepsis and respiratory care during the operation and after oper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외과적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study of mortality in general surger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42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h, Jae Se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