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227

Cited 0 times in

우리말 모음 발음시 연구개운동과 조음위치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경식-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2:54Z-
dc.date.available2015-11-20T05:02:54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00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말 소리의 조음(調音)적 특질을 알기 위한 여러 음성학자 및 의학자에 의한 X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이에 추가로 성도(聲道, vocal tract)의 전기모형(electroanalogs)과 소리의 주파수대(formant)의 연구로 모음 형성의 기전 및 조음 위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과거의 혀의 높낮이에 의한 모음 분류의 오류(誤謬)는 이미 밝혀져 있는 상태로, 현재 source-filter설과 pertubation설이 모음조음의 유력한 기전으로 설명되어지고 있다. 한편 모음 발성시 혀와 연구개의 동시적(synchronous) 운동은 그 기전은 밝혀져 있지는 아니하나, videovelopharyngogram등의 촬영시 혀의 승강(昇降)운동과 연구개의 승강 운동에서의 동시성이 관찰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D.Jones의 기본 8모음에 해당되는 우리말 모음 표준 발음에서의 모음사각도를 작성하고, 이에 따른 연구개의 승강운동의 동시성을 관찰하며, 아울러 성도의 측면사진으로 우리말 모음의 성도내 4개의 좁힘점(경구개, 연구개, 상부인두, 하부인두)을 기 준으로한 모음분류를 시도해보았다. 실험대상 및 방법으로 20-50대의 표준말을 사용하는 성인 남녀 각5명을 videovelopharyngogram 및 측면 X선을 찍어서 이들을 분석 검토하였다. 결론으로서 우리말 모음의 조음위치는 4부위의 성도내 좁힘점으로 분류 가능하였으며, 이는 혀의 최고점에 의한 분류와도 차이가 있었다. 연구개의 상승운동은 고설(高舌) 모음군인 〔ㅣ〕, 〔ㅡ〕, 〔ㅜ〕에서 더 높이 올라갔으며, 〔ㅏ〕가 제일 낮았다. 연구개의 인두후벽(咽頭後壁)에의 접착 정도는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ㅜ〕에서 제일 길었고, 전체적으로 연구개와 상부 인두부에서 조음이 되는 모음에서 길었다. 모음 조음에 있어서 인두강(pharyngeal cavity)의 역할이 중요함을 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앞으로 모음 조음의 기전의 연구에 기초적 자료로서, 구음 장애 환자의 방사선학적 진단, 치료 및 편도적출술등의 인두강의 체적이나, 근육의 운동에 영향을 주는 이비인후과적 처치 후 조음에 대한 영향의 추정 등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 된다. [영문] Since the first study on the vowel articulation was done in early 20th century, there are 2 main theories for vowel formation; resonance theory and pertubation theory. It is well known nowadays that the obsolete theory of highest tongue position of Daniel Jones neglects the importance of pharyngeal cavity in vowel articulation. And as Bzoch described that the degree of elevation of soft plate is different in each vowel in relation to tongue position, we have noticed that phenomenon. So by analysing vocal tract area, the author was intended to find the constriciton area for Korean standard vowel(vowel used by average people of Seoul) articultion with videovelopharyngograms and lateral rontgenograms of vocal tract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ngue motion and soft plate elev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10 adults(male; 5, female; 5) using primary 9 Korean vow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analysing the vocal tract area function with constricition area for vowel articulations, the Korean vowel [i], [e], [ε] were articulated at hard palate level, [i], [u] were at soft plate level, [ ] was at upper pharynx level and the [ ], [ ], [a] were at lower pharynx level was noted. 2. The degree of soft palate elevation was related with the tongue position; high in high tongue vowels such as [i], [ ], [u] and low in low tongue vowels in [a], [ ], [ ] statistically (p<0.05). 3. The significance of pharyngeal cavity in vowel articulation was not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우리말 모음 발음시 연구개운동과 조음위치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contriction area and relationship between tongue and soft palate motion on Korean vowe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49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h, Kyung Shi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