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437

Cited 0 times in

실험적 뇌수막염에 있어 Naegleria fowleri의 항원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광민-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7:08Z-
dc.date.available2015-11-20T04:57:0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9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Naegleria fowleri는 자연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인체에 감염되어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 막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arter,1970). 마우스 비강을 통해 N. fowleri를 감염시킬 경우 인체에서와 똑같은 뇌수막염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보고된 이래(Martinez등, 1973), 마우스를 사용하여 N. fowleri를 감염시킬때 발현되는 숙주의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보고는 있으나 감염경과에 따른 T임파구의 기능과 혈청내 항체가의 변동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마우스를 secobarbital로 마취시킨 후 CGVS배지에서 무균배양된 N. fowleri 0359주(株) 7 × 10**4개가 함유된 생리식염수 5μl를 비강내로 떨어뜨려 감염시켰다. 배양된 N. fowleri 영양형을 ultrasonicator로 파괴시킨 후 20,000g에서 60분간 원심침전하였다. 그 상층액을 0.2μm여과지로 여과시킨후 T임파구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lysate로 사용하였으며, 또한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에 있어 항원으로도 사용하였다. 감염시킨 후 0, 3, 7, 11, 15일째에 마우스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마우스를 희생시켜 비장을 분리하였다. Polystyrene place에 well당 비장세포 10**6개가 200μl의 RPMI 1640 배지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배지에는 4μg/ml의 concanavalin A(con A.) 또는 100μg /ml의 N. fowleri lysate를 넣었다. 5% CO^^2항온기에서 37℃로 42시간 배양한 후 methyl-[**3 H]-thymidine을 well당 1μCi씩 넣어 6시간 반응시켰다. 혈청내 항체가는 Voller등(1976)이 기술한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LISA)으로 측정하였다. T임파구의 기능은 사용된 mitogen con. A. fowleri lysate에 관계없이 감염후 3일부터 감소되어 11일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감염 후 15일에는 N. fowleri lysate를 넣은 경우는 T임파구의 기능이 여전히 감소되어 있으나 con. A를 넣은 배양에는 정상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기능이 회복되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후 7일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감염 후 15일에는 최고치에 달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마우스에 N. fowleri를 감염시켰을 때 감염 15일 후까지 계속 T임파구의 기능은 정상대조군보다 저하됨을 관찰하였고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 후 7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일 후에 최고치에 달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Naegleria fowleri is a pathogenic free-living amoeba causing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PAM) in human (Carter, 1970) and mouse (Martinez et al., 1973). Several reports on the immune responses in this amoebic infection have shown in mice, but no observation on cell mediated immunity.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ic lymphocytes to T-cell mitogens, N. fowleri lysate and concanavalin A, and serum antibody titer during the course of experimental PAM in mice. Naegleria fowleri, strain 0359, was cultured in the CGVS medium axenically and inoculated intranasally with 7 × 10**4 trophozoites in 5μl of saline under the secobarbital anesthesia for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PAM in mice. The amoeba were subjected to ultrasonication and centrifuged at 20,000g for 60 minutes, and filtered through 0.2μm filter membrane. The supernatant, N. fowleri lysate, was used as T-cell mitogen, and antigen for ELISA. The serum antibody was examined by ELISA using peroxidase conjugate. Two bundled μl of 10**6 splenocytes in RPMI 1640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 were added to each well of a microtiter plate. To each well was added T-cell mitogens, 100μg/ml of N. fowleri lysate or 4μg/ml of con. A, and the plates were incubated fort 42 hours at 37℃ in 5% CO^^2 incubator. Cultures were pulsed with 1 μCi of methyl-(**3 H)-thymidine 6 hour before harvesting. The mean blastogenic response of the splenocytes to N. fowleri lysate, measured by the stimulation index, was reduced, whereas that to con. A was also reduced up to on day 11 after infection. Both of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those of uninfected control group. The serum antibody titers were increased gradually up to da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n impairment of the blastogenic response of splenocytes to T-cell mitogen during the acute course of experimental PAM in mi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실험적 뇌수막염에 있어 Naegleria fowleri의 항원성-
dc.title.alternative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ic lymphocytes to Naegleria fowleri lysates and T-cell mitogen in mice with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6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Kwang M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