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986

Cited 0 times in

간 지방변성에 있어서 말단 간 세정맥(terminal hepatic venule) 주변 섬유화의 정도와 그 의의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성수-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5:55Z-
dc.date.available2015-11-20T04:55:5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53-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간 지방변성은 알코올 중독, 비만증, 당뇨병, 영양불량, 간독성 약물등 여러가지 원인들에 의한 조직학적 병변이며,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지방변성은 말단 간 세정맥 주변의 섬유화를 동반한다. 이러한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는 알코올성 간 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에서 흔히 볼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체로 그 섬유화의 예후적 가치에만 관심을 기울여 왔고 병리학적인 진단적 가치의 중요성은 비교적 등한시 되어 왔다. 특히 음주습성이 서구인과 다르고 알코올성 간 질환의 발병 빈도가 낮은 우리나라에서는 만성 음주자에 전형적인 알코올성 간염이 드문 반면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만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저자는 알코올성 간 질환과 지방변성을 나타내는 비알코올성 지방변성에 있어서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의 진단적 의의를 알아 보고자 1984년 12월부터 1986년6월까지 간 지방변성의 조직학적 소견을 보였던 90례의 간침 생검 조직 표본을 대상으로 임상 자료와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 지방변성의 조직 소견을 보였던 총 90례중 34례(37.8%)는 알코올성이 간 질환이었고 56례 (62.2%)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었으며 알코올성중에는 지방간 20례, 알코올성 간염 5례, 알코올성 간경변증 9례가 있었고 비알코올성중에는 비만증 16례, 당뇨병 10례, 영양불량 1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9례, 원인 불명의 지방간 20례가 있었다. 2. 지방변성의 조직 소견을 보였던 총 90례중 혈청 gamma-glutamyl transpeptidase는 88.2%, SGOT는 59.1%, SGPT는 84.1%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SGOT의 이상 소견을 보인 예들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다 알코올성 간 질환에서 의의있게 많았고 (P<0.05), 혈청 gamma-glutamyl transpeptidase치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다 알코올성 간 질환에서 현저하게 높았다(p<0.005). 3. 총 90례중 41례(45.6%)는 경도의 지방변성, 27례(30.0%)는 중등도, 22례(24.4%)는 중증도의 지방변성을 보여서 경도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방변성의 정도와 간 기능 및 혈청 지질 검사소견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4.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의 정도는 총 90례중 17례(18.9%)에서는 grade 0, 35례(38.9 %)에서는 grade 1, 21례에서는 grade 2, 17례(18.9%)에서는 grade 3으로서 grade 1의 섬유화를 보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Grade 3의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를 보인 경우는 지방변성을 동반한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보다 알코올성 간염에서 현저히 많았다(p<0.001). 5.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의 정도는 지방변성의 정도 또는 간기능 및 혈청 지질 검사 소견과 상관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말단 간 세정맥 주변섬유화의 정도는 간기능 및 혈청 지질 검사 소견 또는 지방변성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지방변성만 있는 경우의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 정도는 알코올성과 비알코올성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알코올성 간염에서 중증도의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를 보이는 예가 의의있게 많았다. 그러므로 중증도의 말단 간 세정맥 주변 섬유화는 알코올성 간염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영문] Fatty change of the liver is a histological finding caused by various diseases such as chronic alcoholism, obesity, diabetes mellitus, malnutrition and certain hepatotoxic drugs, and is sometimes accompanied by fibrosis around the terminal hepatic venules (FTHV), which is commonly observed in alcoholic liver disease, especially in alcoholic hepatitis. Investigations on FTHV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prognostic value, but its diagnostic value in pathology have been relatively overlooked. Although FTHV is observed not infrequently in chronic alcoholics, if not severe in degree, the typical features of alcoholic hepatitis seem to be relatively rare in Korean peopl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degree and significance of FTHV in fatty liver due to various etiologies, and also the diagnostic value for prediction of alcoholic etiology was assessed. Ninty cases of needle-biopsied liver specimens which show showed more or less fatty change of the liver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984 to June 1986, and their clin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90 cases 34(37.8%) were alcoholic liver diseases and 56(62.2%) were non-alcoholic fatty livers. Alcoholic liver diseases included 20 cases of alcoholic fatty liver, 5 cases of alcoholic hepatitis and 9 cases of alcoholic cirrhosis. Nonalcoholic fatty liver included 16 cases of obesity, 10 cases of diabetes mellitus, 1 case of malnutrition, 9 cases of chronic viral hepatitis and 20 cases of fatty liver of uncertain etiology. 2. The serum gamma-glutamyl transpeptidase(GGT) level was increased in 88.2%, SGOT in 59.1%, SGPT in 84.1%. The increased SGOT level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alcoholic liver disease tha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The serum GGT level was more elevated in alcoholic fatty liver tha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3. The hepatic steatosis was mild in 41 cases (45.6%), moderate in 27 cases(30.0%) and severe in 22 cases (24.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teatosis and the liver function tests as well as the serum lipid levels. 4. FTHV of the liver was grade 0 in 17 cases (18.9%), grade 1 in 35 cases (38.9%), grade 2 in 21 cases (23.3%) and grade 3 in 17 cases (18.9%). The percentage of grade 3 FTHV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hepatitis than in chronic viral hepatitis with steatosis. 5. The grade of FTHV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teatosis or liver function tests as well as the serum lipid levels. In summar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FTHV and laboratory data or the degree of steat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grade of FTHV between alcoholic liver disease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in patients with simple steatosis, but the prevalence of severe FTHV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hepatiti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 지방변성에 있어서 말단 간 세정맥(terminal hepatic venule) 주변 섬유화의 정도와 그 의의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gree and significance of the fibrosis around the terminal hepatic venules in fatty change of the liver-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9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Seong S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