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03

Cited 0 times in

Lidocaine이 골격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화학적 및 조직계측학적 연구

Other Titles
 Histochemical and quantitative histoloical studies of rat skeletal muscle by lidocaine with and without epinephrine 
Authors
 남용택 
Department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국소마취제가 골격근에 손상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국소마취제 자체가 지닌 독성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고에서 이러한 손상은 주사후 15∼30일이면 정상으로 회복된다고 하였으나 30일에서도 근핵이 근섬유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는 보고

도 있다. 그러나 30일 이후의 관찰에 대한 보고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또 국소마취제와 혼합해서 사용하는 epinephrine도 말초혈관의 수축으로 근육에 일시적인 허혈을 초래하여 근육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lidocaine주사때와 비슷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epinephrine을 국소마취제와 혼합주사할 경우 어느정도의 상

승효과가 있는지는 알 수 없으며 정량적으로 분석한 보고가 없다.

본 실험에서는 국소마취제 중에서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lidocaine과 epinephrine을 단독 혹은 혼합주사하여 각각의 형태학적 및 조직화학적 변화를 1, 3, 7, 15, 30 및 90일에 시기별로 관찰하였다. 그리고 근섬유형에 따른 선택적인 손상과 위축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근섬유 면직을 현미경 그리기 장치로 YAP-1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형태학적 변화는 혼합주사군에서 단독주사군 보다 심하였으며 주사후 90일에도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즉

1) 중앙에 위치한 근핵이 주사후 90일에도 관찰되었다.

2) 손상받았던 부위의 근속들이 재군집 현상을 보였다.

3) 근섬유의 분리(splitting)가 혼합주사군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백색부분에서는 A형 근섬유에서, 적색부분에서는 B 및 C형 근섬유에서 발생하였다.

2. 모든 실험군의 NADH-TR반응에서 B 및 C형 근섬유가 선택적으로 변화를 일으켰으며, 혼합주사군에서 더 심하였다.

3. 손상받았던 부위의 근섬유 면적을 계측하였던 바, 주사후 30일에 모든 실험군에서 위축을 보였으며 혼합주사군에서 가장 심하였다. 90일에서는 lidocaine군은 거의 회복되었으나, epinephrine군과 혼합군에서 위축을 보였으며 근섬유형에 관계없이 혼합군에서 가장 심한 위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lidocaine 및 epinephrine을 단독 또는 혼합주사하였을 경우 30일 이후에도 형태학적, 조직화학적 및 조직계측학적 변화가 심하였으며 90일까지도 이러한 변화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또 epinephrine과 lidocaine을 혼합하여 주사할 경우 단독주사 경우보다 조직의 손상이 더 심하였다.



[영문]It is known that skeletal muscle damage after subcutaneous or intramuscular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is by their own myotoxic effect, and such damage can be recovered within 30 days except for the persistance of central neucleus. But there has been little report about the histological and hiatochemical changes after 30 days post-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Epinephrine also induces skeletal muscle danage similar to the local anesthetics by producing transient ischemia by peripheral vasoconstriction. Therefore we can expect additional damage when local anesthetics are injected with epinephrine, but the exact extent of damage is not known due to the lack of research.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find the histologic and quantitative histological damage following intramuacular injection of 2% lidocaine with and without 1 : 50,000 epinephrine for 90 day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Histologic changes did not revert to normal even after 90 days post-injection. When lidocaine was given with epinephrine, the changes were more severe.

(1) Central nucleus persisted after 90 days post-injection.

(2) The injured region displayed re-grouping.

(3) Following combined drug administration, muscle splitting was observed.

2. Histochemical damage which was selective for the B and C type muscle fiber via the NADH-TR reaction wart more severe following combined drug administration.

3.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muscle fiber were measured 30 and 90 days after injection. The fibers were characterized by atrophy at 30 days in all experimental groups. At 90 days, however the lidocaine group only showed recovery while the epinephrine and combined group remained atrophic state.

In Conclusion, 2% liodocaine With ant Without 1 : 50,000 epinephrine administration cause histological, histochemical and quantitative histological changes for the 90 days postinjection. And the combined drug administration caused more severe damage than mingle drug injec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Nam, Yong Taek(남용택)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6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