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24

Cited 0 times in

한국인 성인 하악공의 전후위치적 계측 및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형곤-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2:50Z-
dc.date.available2015-11-20T04:52:50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636-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오늘날 많이 시행되고 있는 악골기형 수술은 그 대부분이 하악골 상행지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치료효과도 좋은 결과를 얻고있다. 그러나 수술시 빈발하는 합병중의 하나인 하치조 신경 및 혈관의 손상은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어왔다. 따라서 하악공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인지하는것이 외과적 처치시 매우 중요하다. 본 저자는 보다 임상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상세한 하악공의 위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어 총 66예의 한국성인 하악골에서 하악공 전후 위치 및 하치조 신경관의 위치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지 폭의 평균 길이는 31.40㎜이었으며 하악공은 하악지 전연에서부터 하악지 폭의 3/4되는 부위에 위치한다. 2. 하악지 전연에서 하악공 전연까지는 16.80㎜이고 하악지 후연에서 하악공 후연까지는 8.90㎜ 이다. 3. 하악공의 폭은 최장 14.30㎜, 최단 3.30㎜이었고 평균 8.50㎜이었다. 4. 하악지 전연에서 하악공 중앙까지 저리는 최장거리 30.20㎜, 최단거리 9.20㎜이고 평균 20.66㎜이며, 하악지 후연에서 하악공 중앙까지 거리는 최장 25.10㎜, 최단 8.10㎜이며 평균 13.43㎜이다. 5. 하악공 중간점은 하악절혼 최 심부위와 악각점을 연장한 기준선 후방 1.01㎜에 위치하였고, 좌·우를 합한 총 132예중 기준선 후방에 88예(66.67%)가 분포되어 있으며 기준선 전방에 44예(33.33%)가 위치하였다. 6. 하지조 신경관은 구후 삼각부 설면에서부터 7.26㎜, 협면에서 7.67㎜되는 부위에 위치하며, 협설간 폭의 거의 중앙부를 주행한다. [영문]It is extream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rrect anatomical position of mandibular foramen in surgery of maxillofacial anomalities .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66 dried mandibles of Korean adults to determine the anteroposterior relation ship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the loca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canal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ndibular foramen was found to be located in the third quderent anteposteriorly. 2. The mean dimension from the anterior herder of the mandible to the anterior position of foramen was 16.80㎜, and from the posterior border of mandible to the posterior position of foramen was 8.90㎜. 3. The mean width of the mandibular foramen was 8.50㎜ with the range from 14.30㎜ to 3.30㎜. 4. The mean anterior demension from the midpoint of foramen was 20.66㎜ with the range from 9.20㎜ to 30.20㎜, and the mean posterior demension was 13.43㎜ with the range from 8.10㎜ to 25.10㎜. 5. The midpoint of mandibular foramen was located in posterior to the index line with mean demension of 1.Ol㎜. In 132 cases, 88 oases(66.6%) were located posteriorly, and only 44 cases(33.33%) were located anteriorly to the index line. 6. The inferior alveolar canal runs nearly midpoint of the buccolingual demension at predetermined index line. The mean distance from the inferior alveolar canal to the medical surface of mandible was 7.26㎜, and to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le was 7.67㎜.-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 성인 하악공의 전후위치적 계측 및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anteroposterior positional and radiographical measurement of the mandibular foramen of the Korean adult-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11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oung G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