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82

Cited 0 times in

정상 임산부의 중지말절박동 출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순-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8:54Z-
dc.date.available2015-11-20T04:48:5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88-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임산부에서 중지말절박동의 출현유무를 극명하기 위한 탐색적 기술연구이다. 연구대상자로는 임부의 경우 부산시 소재 Ⅰ종합병원의 산전진찰실을 방문한 정상임부 75명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산부는 K종합병원 분만실과 Y조산소에서 합병증 없이 정상 분만중에 있는 산부 122명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관개대 정도에 따른 요골맥박, 중 지말절박동수, 혈압은 산부 122명중 분만진행기록지가 충실한 64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임부집단과 산부집단에서 중지말절박동 출현유무를 조사하였고 산 부에서는 자궁경관개대에 따른 중지말절박동수, 요골맥박수, 혈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으로는 임산부 집단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 율로 산출하였으며 임부집단과 산부집단의 중지말절박동출현 유무를 실수와 백분율로 비 교하였다. 산부에서 경관개대정도와 중지말절박동수, 요골맥박수 및 혈압과의 관계를 ANO 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집단과 산부집단간에는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이 균질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2. 제1가설: "임신중의 임부에서는 중지말절박동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나 출산중의 산 부에서는 중지말절박동이 나타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3. 제2가설: "경관개대가 진행됨에 따라 중지말절박동수와 요골맥박수는 증가할 것이다 "는 기각되었다(F=1.75, p>.05). 4. 제3가설: 경관개대가 진행됨에 따라 혈압은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수축기 혈 압 : F=151.59, p<.001, 이완기혈압: F=113.63, p<.001). 결론적으로 중지말절박동의 출현은 출산이 임박함을 나타내는 중요한 징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lsation of the phalanx distalis of the middle finger of pregnant women in labour and pregnant women not in labou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pregnant women not in labour and 64 women in labour. The pregnant women were attending Ⅰ general hospital antenatal clinic and the women in labour were obstetric patients admitted to K general hospital and Y midwifery clinic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1987 to May 13, 1987.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rcentile,x**2-test and ANOVA. The pulsation of the phalanx distalis of the middle finger was determined by palpation of the distal part of the subjects middle finger for one min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egnant women not in labour and the women in labour were homogeneous groups in demographic and obstetric variables. 2. Hypothesis 1 : "The pulsation of the phalanx distalis of the middle finger will be present in women in labour, but not in pregnant women who are not in labour" was supparted. 3. Hypothesis 2 : "The wider the cervical dilatations the higher the radial pulse rate and pulsation rate on the middle finger" was rejected (F=1.75, p>.05). 4. Hypothesis 3 : "The wider the cervical dilatation, the higher the blood pressure" was supported (systolic blood pressure : F=151.59,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 : F=113.63, p<.001). In conclusion, the presence of the pulsation of the phalanx distalis of the middle finger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sign of labou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상 임산부의 중지말절박동 출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pulsation of the phalanx distalis of the middle finger of womwn in labour-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1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In S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