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50

Cited 0 times in

신장이식후 임파구변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ies on the changes of lymphocyte after renal allograft 
Authors
 김유선 
Department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말기 신부전증의 치료방법으로 신장이식이 이미 확고한 위치에 있으나 장기이식에 따르

는 거부반응의 해결은 아직도 완전한 성공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거부반응의 정복을

위해서는 환자의 면역능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거부반응을 조기에 예견할 수 있는

지표가 있어야하겠다. 이에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1979년 4월 첫

신장이식을 시행한이래 1981년 3월까지 시행한 50예의 동종신장이식환자에서 전체임파구,

전T임파구, 그리고 활성 T임파구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거부반응군과 비거부반

응군으로 대별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말기 신부전증환자에서는 정상건강대조군에 비하여 전T임파구 및 활성T임파구치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2) 신장이식후 전체임파구치의 변화는 수술직후 급격히 감소하여 수술후4일째에 수술전

수준의 평균 46%을 나타내었다가 수술후 7일경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수술후 3∼4

주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3) 동기간 전T임파구치의 변화는 전체 임파구의 그것과 비슷하여 수술직후 급격히 감소

하여 수술후4일째에 수술전수준의 평균43%을 나타내었다가 수술후 7일경에 서서히 증가하

기 시작하여 수술후 3∼4주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동기간 활성 T임파구치의 변화도 전체임파구의 그것과 비슷하여 수술직후 급격히 감

소하여 수술후 4일째에 수술전수준의 평균47%을 나타내었다가 수술후 7일경에 서서히 증

가하기 시작하여 수술후 3∼4주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5) 동기간 전체임파구에 대한 전T임파구의 백분율은 각시점에 있어 거의 변화가 없었다

.

6) 전체신장이식 50예중에서 수술후 4주이내에 거부반응을 보인 경우는 20예(40%)이였

으며 평균 발생시기는 16∼19일 이였다.

7) 거부반응군 20예에서 수술후 7일째에 급격한 전T임파구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비거

부반응군 30예와 비교하건데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8) 거부반응군 20예에서 수술후 7일째에 급격한 활성T임파구의 증가를 나타내 수술전

수준의 95%까지 증가하였으나 비거부반응군 30예에서는 수술전 수준의 28%까지 감소하여

수술후 7일째 거부반응군에서의 활성T임파구의 상승은 의의가 있었다.

9) 전체임파구에 대한 전T임파구 및 활성T임파구의 백분율은 거부반응군이나 비거부반

응군 모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신장이식직후 전T임파구 및 활성T

임파구의 감소는 수술직후 사용한 다량의 Methylprednisolone의 영향에 의한 전체임파구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거부반응군에서 거부반응이 나타나기 약 10일전에 활성

및 전T임파구치의 증가가 나타나 이는 앞으로 다가올 임상적인 거부반응의 조기발견에 좋

은 지침이 될 수 있으며 신장이식후 연속적인 T임파구측정이 거부반응의 조기발견을 위한

한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As a therapeutic modality of the end-stage renal failure, the renal allograft is

now increasingly popular. But the rejection after renal allograft is still major

problem. Therefore good immunologic index which Is able to predict early rejection

and asses the host immunologic response must be searched. We checked the total

lymphocyte count,total T lymphocyte count and active T lymphocyte count on the 50

cases of renal allograft sequentially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analyzed the lymphocyte change and compared between rejection and nonrejection

group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979 and March, 1981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end-stave renal failure, the total and active T lymphocyte were

depleted than the normal healthy control group.

2. After renal allograft, the total lymphocyte count was decreased abrupt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up to 4th day) and then slowly Increased after

7th day and reached to the 82%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postop. 4th week.

3. After renal allograft, the total T lymphocyte count was also decreased

abruptly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up to 4th day) and then slowly

increased after 7th day and reached to 74%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postop. 4th

week.

4. After renal allograft, the active T lymphocyte count was also decreased

abruptly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up to 4th day) and then slowly

Increased after 7th day and roached to the 62%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postop.

4th week.

5. After renal allograft, the total T lymphocyte and active fraction to the total

lymphocyt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ostop. 4 weeks.

6. There were 20 cases of acute rejection out of the 50 cases of renal allograft

during postop. 4 weeks and the mean time of rejection was between postop. 16th and

19th day.

7. In the rejection group, total T lymphocyte count was reached to the 80%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7th day hut in the nonrejection group, total T lymphocyte

count was reached to the 56%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7th day.

8. In the rejection group, active T lymphocyte count was reached to the 95% of

preoperative level on the 7th day but in the nonrejection group, active T

lymphocyte count was leached to the 28% of preoperative level of the 7th day. This

result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ith P value below 0.05.

With above results sequential total and active T lymphocyte ount monitoring after

renal allograft will be beneficial for allograft for early prediction of graft

rejection of graft rejection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3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Yu Seun(김유선)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5105-1567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