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715

Cited 0 times in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의 출혈성 경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원중-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8:04Z-
dc.date.available2015-11-20T04:48:0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5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은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과 출혈성 경향이 빈번하며 복합 화학 요법 및 예방적 항응고요법등의 적극적인 시도로 다른 아형과 유사한 치료성적이 보고되 고 있으나 아직도 뇌출혈등의 출혈 증상은 중요한 합병증으로 되어 있으며 주 사망 요인 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1975년 1월부터 198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 속 세브란스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으로 확진 및 치료를 받은 51예 중 관찰이 가능하였던 40예를 대상으로 임상상 및 뇌출혈을 중심으로 하는 합병증을 관찰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 40예의 연령분포는 15세에서 68세로 중앙치 40.3세, 평균 37.9세로 남자 15예, 여 자 25예로 남녀비는 1:1.7로 여자에서 호발하였다. 입원당시 점상출혈을 제외한 출혈을 보인 환자는 28예(70%)로, 자반 또는 반상출혈이 1 4예, 질출혈이 7예, 뇌출혈이 1예, 폐출혈은 2예이었다. 출혈의 발생과 DIC의 존재유무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뇌 출혈은 입원당시 1예와 입원경과중 15예, 총 16예에서 관찰되었으며 내원당시의 이학적 및 혈액학적 소견과 통계학적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 관해 화학요법을 시행후 발생한 뇌출혈은 7예로 평균 2.7일째이었으며 결과관찰이 가능 하였던 8예중 완전 관해는 2예, 저형성상이 6예에서 관찰되었으나 그 추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에서 임상상 및 골수소견, 혈액학적 소견들중 뇌출 혈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관찰할 수는 없었던 바, 앞으로는 진단과 동시에 보다 적극 적인 복합 화학요법, 예방적 항응고요법 및 혈소판 성분수혈과 응고인자 투여등의 보존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보다 많은 예를 대상으로 철저한 혈액응고계에 대한 검색을 포 함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 이다. [영문] Acute promyelocytic leukemis (APL) is considered as a distinct entity among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characterized by the peculiar morphologic feature, frequent hemorrhagic diathesis with a fatal outcome,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a sever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Here presented a clinical study of 40 cases with APL, admit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75 to June.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APL was 11.2% of all cases of acute leukemia. 2.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7 and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in the 5th decade. 3. The bleeding manifestations (except petechia) on admission were ecchymosis or purpura in 14 cases, vaginal bleeding in 7 cases, CVA in 1 case and pulmonary hemorrhage in 2 cases. 4. The DIC was present in 11 cases out of 26 cases evaluated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presence of DIC and bleeding. (P<0.05) 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occurrence of CVA and DIC or chemotherapy with/without anticoagulation. 6. In 7 cases with CVA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the mean days of its onset was 2.7 day. 7. The result of induction chemotherapy revealed complete remission in 2 and hypoplastic in 6 out of 8 cases received at least 1 cycle of chemotherapy. 8. There was no definite parameter including clinical and hematologic finding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CVA in patient with APL. In summary, more intensive chemotherapy by modification, with prophylactic anticoagulation might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after diagnosis of APL was made and prospective study in more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coagulation profile, should be done to elucidate further conclus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의 출혈성 경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study of hemorrhagic diathesis in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52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Won Jo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