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1205

Cited 0 times in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에 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elf care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uthors
 김영희 
Issue Date
1987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질병의 양상이 급성적이며 전염성이 많았던 것에서 만성적이며 완치가 불가능하여 계속

적으로 조절하며 살아가야하는 양상으로 바뀌어 감에 따라 환자스스로가 자신의 질병에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강전문가와 대상자가 공동으로 질병조절에 참여해야할 필요성

이 증가하고있다.

특히 질환이 만성적으로 진전된 후에 발견되는 만성신부전은 조기치료가 어려우며, 환

자가 제대로 치료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회복이 지연되고 질병을 악화시키게되어 생명을

위협하게되므로 환자들은 평생동안 치료이행과 자가간호를 계속 수행해야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만성 신부전으로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

호 수행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자가간호 지

적능력·자가간호 수행정도·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를 파악하고, 둘째 자가간호 지적능력

·자가간호 수행정도·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 셋째 제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넷째 제변수와 대상자 특성과의 부분적 상관관

계를 규명하고, 다섯째 제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1987년 10월 12일부터 11월 6일까지 4주 동안 서울시

소재 3개 대학부속병원의 복막투석 외래환자 및 입원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출후 연

구자가 직접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문헌을 참고로 제작한 자가간호 지적능력, 자가간호 수행정도, 치

료적인 자가간호 요구를 측정하는 Likert type의 5점 평정척도로 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서술적 통계량,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

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검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가간호 지적능력은 평균 3.76점으로 복막투석에 따른 자가간호지적능력이 '보통으

로 알고있다'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어 대체로 높은 자가간호 지적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지적능력이 낮은 영역은 평균 3.54점의 기본지식 영역으로 나타났다.

2. 자가간호 수행정도는 평균 3.42점으로 보통이상의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나타내었다.

수행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평균 2.10점의 "복막투석시 체온관찰"로 나타났다.

3.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는 평균 4.22점으로 질병으로 인한 신체 생리적 변화 및 사회

·심리적 변화에 약간 부담을 느끼고, 보통으로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간

호요구가 가장 높은 문항은 평균5.28점의 "피로감"이었고, 부담정도에 비하여 가장 적응

하지 못하는 문항은 "식이조절"로 나타났다.

4. 자가간호 지적능력, 수행정도,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의 특

성으로는 성별, 사회문화수준(직업, 주거소유), 건강관리상황(복막투석 받은기간, 복막투

석으로 입원한 횟수, 다른 치료 희망여부, 월평균 치료비)으로 특성구분간의 평균값에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자가간호 지적능력 ,수행정도,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자가간호 지적능력과 수행정도와는 r=.7189로 높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가간호

지적능력과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와는 r=-.4401로 역상관관계, 자가간호 수행정도와 치

료적인 자가간호요구와는 r=-.3497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가간호지적능력,

수행정도,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에서 특성구분간의 평균값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사회

문화수준, 건강관리 상황 변수를 통제 후 개념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통제전과 통

제후의 상관관계에 변화가 없게 나타났다.

6. 자가간호 지적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요인은 다른 치료받은 경험, 교육정도, 1

일 투석 교환횟수, 성별이며 자가간호 수행정도의 주요예측요인은 진단 후 경과기간과 자

가간호 지적능력으로 나타났다.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의 주요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월평균 치료비, 신부전 원인으로

나타났다.

있었다. 치료적인 자가간호의 주요 예측요인으로는 성별로 남자에 비해 여자가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로서 간호사는 자가간호 지적능력과 수행정도 점수가 낮은 항목 및 치료적인 자

가간호요구점수가 높은 항목과 부담정도에 비하여 적응정도 점수가 낮은 항목부터 우선순

위로 하여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교육 강화하며, 대상자와

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가간호 지적능력, 수행정도,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를 정확하게 사

정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함으로서, 자가간호 지적능력을 극대화시

키고, 치료적인 자가간호요구를 극소화시켜서 복막투석에 따른 자가간호를 잘 수행 할 수

있도록 도와야하겠다.

[영문]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preliminary data i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promotion of self care performance of CAPD patients.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self

care performance level and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client characteristic

factors influencing these concepts, correlation among these concepts, parti al

correlation between these concepts and clien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hese concepts.

The research design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The purposive sample was obtained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consisting of 50 clients with CAP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12 to Nov. 16, 1987, by means of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self

care performance level, and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scales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average was 3.76, showing a relatively

high level of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The category with the lowest score

were basic knowledge related to normal kidney function, chronic renal failure and

CAPD with an average of 3.54.

2. The self care performance level average was 3.42, showing a relatively high

self care performance level.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was "tomperature

observation following CAPD" with an average 2.10.

3. The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average was 4.2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ome burden and moderate adjustment related to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changes. The item with the highest score was "fatigue", maladjustment item against

burden was "diet control".

4. The client characteristics ; influencing these concepts were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are situations.

5. The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f care performance level a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partial correlation of these concepts after controlling the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are situations.

6. The predictive factor in regard to the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was

other treatment experience, in regard to self care performance level was durations

after diagnosis, and in regard to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was sex.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self care performance promotion in CAPD

patients, the nurse as aneducator can be reinforced and taught knowledges and

skills on items shown lower score in self care intellectu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level and can be supported concrete helping services and coping

strategies on items shown higher score in therapeutic self care deman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38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