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495

Cited 0 times in

병원표준화심사가 의무기록관리에 끼친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on medical record management 
Authors
 김양담 
Issue Date
1984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양질의 의료관리 프로그램의 하나로써 1981년부터 1983년까지 3차에 걸쳐 실시된 우리

나라 병원표준화 심사는 의무기록 분야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향상되

지못한 부분이 있다면 그 원인을 분석하여 이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뜻에서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미국의 병원신임합동위원회에서 의무기록과 관련지어 요구하는 5개 항목을 중심으로 병

원표준화 실시 이전인 1978년에 대한의무 기록협회가 조사한 자료와 병원표준화를 실시한

지 3년째인 1983년 병원표준화 대상병원의 의무기록 부분의 심사결과 및 수련병원지정

신청자료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조사내용에 대한 빈도수와 구성비율을 내고

병원표준화 실시 전·후 비교를 위해 X**2 검증을 하였으며 1983년 병원표준화 대상병원

을 병상규모별, 설립 주체별로 비교하기위해 X**2 검증을 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

다.

1. 의무기록의 중앙화 관리율은 병원표준화 실시 이전에 60%였던 것이 실시후 88.4%으

로 향상되었다.

2. 직원의 의무기록에 대한 전문교육정도에 있어서 병원표준화 실시이전에는 전문교육

을 받은 직원의 수가 7.5%였던 것이 병원표준화 실시이후에는 36.9%로 향상되었다. 1983

년의 병원표준화 대상병원을 병상규모별로 분석해 본 결과 150병상미만의 종합병원인 D군

의 경우에 있어서 72%가 전문교육을 받지않은 직원들로 이루어져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고 있었으며 설립주체별로는 개인의 경우가 81.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의무기록 보관 및 비밀유지에 대한 병원내규의 유무에 있어서 병원표준화 실시이전

에는 병원내규가 있는 병원이 52.5%였던 것이 병원표준화 실시이후에는 94.5%로 향상되었

으며 간부의사단의 인가를 받은 약어나 기호집비치에 있어서 병원표준화 실시전에는 준비

된 병원이 2.5%였던것이 병원표준화 실시 이후에는 81%로 향상되었다.

4. 의무기록위원회 활동내용중 의무기록서식 제정 및 심의활동에 있어서 실시하고 있는

병원이 병원표준화 실시이전에는 42.1%였던 것이 병원표준화 실시후 50.0%로 향상되었다

.

그러나 정질분석 활동에 있어서 실시하고 있는 병원이 12.5%에서 6.0%로 오히려 낮아졌

다.

[영문]

This study has carried out with comparing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medical

record services of the 134 hospitals which participated in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Form for Approval of the Teaching

Hospital, 1983 with the previous survey by the Korean Medical Record Association,

1978.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on medical record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reason of

unimprovement for an effort of the standardization or rationalization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edical recor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advent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the

percentage of the centralization of medical record was increased by 88.4% (114

hospitals among 129) from 60% (24 hospitals among 40).

2. After the advent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the

percentage of the qualified medical record personnel was increased by 36.9 % (249

personnels among 675) from 7.5 % (17 personnels among 209). The worst hospitals in

a view of the unqualtified medical record personnel, were 72 % (98 personnels amang

136) in group "D" hospitals which have, less than 150 beds and were 81.4 %(35

personnels among 43) in the private hospitals.

3. After the advent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the

percentage of hospitals which have the hospital policies about medical record

retention and release of medical information was increased by 94.5 % (121 hospitals

among 128), from 52.5 % (21 hospitals among 40). The percentage of hospitals which

have the abbreviations and symbols approved by medical staff was increased from 2.5

% (one hospital among 40 hospitals) to 81 % (98 hospitals among 121).

4. After the advent of the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the

Percentage of the hospitals did the activities of form design and revision of

medical record in the medical record committee was increased from 42.1 % (16

hospitals among 38) tO 50 % (42 hospitals among 84), and the activities of the

qualitative review of medical record in the medical record committee was decresed

from 12.5 % (5 hospitals among 40) to 6.0 % (5 hospitals among 84).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34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