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445

Cited 0 times in

흰쥐의 좌골신경 절단이 척수신경절의 Somatostatin 및 Substance P세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ciatic nerve transection on the somatostatin and substance P cells in dorsal root ganglia of rats 
Authors
 김상진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좌골신경을 절단하였을 때 척수후각의 substance P(SP)와 somatostatin(SOM)이 감소한

다는 것이 방사면역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두가지 펩타이드의 합성부위로 알

려진 척수신경절에서의 SP 및 SOM 함유세포의 형태정량적 연구나 신경손상 후 척수신경절

에서 일어나는 펩타이드 함유세포외 형태학적 변화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흰쥐의 척수신경절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SP 및 SOM 함유세포의 특징을

알아보고 좌골신경 절단 후 척수신경절에서 SP 및 SOM 함유세포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

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흰쥐의 제 5 요신경 척수신경절을 염색한 후 toluidin

e blue로 염색한 대조표본과 비교하여 SP 및 SOM함유세포의 수, 크기, 형태적 특징, 동일

세포내 SP 및 SOM의 공존여부 등을 검색하였으며, 좌골신경을 절단한 후 2주, 4주, 6주

경과 후 일어나는 SP 및 SOM 세포의 면적과 수의 변화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1) 좌골신경 손상 후 2주부터 신경절 세포 중 A형세포에서 chromatolysis가 일어나며

수적인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4주경부터 세포의 형태나 수에 있어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

였다.

2) B형세포는 좌골신경절단 후에도 형태학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고 세포수의 감소도 뚜

렷하지 않았다.

3) SP 및 SOM함유세포는 척수신경절에 골고루 분포하였고 SP와 SOM은 한 세포에 공존하

지 않았다.

4) SP 및 SOM함유세포는 두 세포 모두 작은 B형세포군에 포함되며 핵과 세포질의 비는

두 세포 모두 척수신경절 다른 신경세포보다 크게 나타났다

5) 정상군의 제 5 요신경 척수신경절에서 SP 및 SOM함유세포는 신경절내 신경세포수의

각각 12.5%와 3.2%를 차지하였다.

6) SP함유세포수는 신경 절단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6주경에 이르면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SOM함유세포의 수는 손상 후 6주까지 회복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척수신경절의 SP 및 SOM함유세포는 B형세포군에 속하지만 서로 다

른 세포로서 SP함유세포는 축삭손상 후에 회복이 빠른 반면, SOM함유세포는 회복이 안되

거나 매우 느린 세포라고 생각된다.

[영문]

It is well known that substance P(SP) and somatostatin(SOM) were reduced in

dorsal horn of spinal cord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 through the

radioimmunoassay. However, morphometric analysis of SP- and SOM-containing nerve

cells in dorsal root ganglia where these peptide were synthesized,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peptide containing nerve cells in dorsal root ganglia were

not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morphometric analysis of SP- and SOM-containing

nerve cells in dorsal root ganglia. For this purpose, immunohistochemical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siz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

and SOM-reactive cells in L^^5 dorsal root ganglia of rats.

In addition, changes in type A, type B, SP- and SOM-containing nerve cells in

ganglia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P- and SOM-reactive nerve cells belong to the population of type B call, but

N/C ratios of immunoreactive cells were higher than others.

2) In normal group, SP- and SOM-reactive nerve cells were 12.5 and 3.2% of total

nerve cells in ganglia, respectively.

3) The ease of coexistence of SP and SOM in one cell was Not found.

4)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ype A cells, but not in type B cells

at 2 weeks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 They were recovered from 4 weeks

postoperative.

5) There was a marked reduction in the number of SP- and SOM-reactive cells at 2

weeks after nerve injuries. And SP-reactive nerve cells were increased in number at

6 weeks postoperative, but SOM-reactive cells were not increased until 6 weeks

af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SP- and SOM-reactive nerve cells belong to type B

cells, but do not coexist in one cell. These nerve cells were decreased in number

after nerve transaction. SP-reactive nerve cells were recovered at 6 weeks

postoperative but recovery of SOM-reactive cells was not foun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51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