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77

Cited 0 times in

정신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남-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3:35Z-
dc.date.available2015-11-20T04:43:3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283-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스트레스 정도와 소진경험 정도를 파악하여 보다 나은 정신간 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2개 정신병원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1개 정신병원에 근무 하는 정신간호사 102명을 대상으로 하여 1988년4월 20일 부터 4월 30일까지 총 10일에 걸 쳐 질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문헌과 선행연구 및 예비조사를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스트 레스 측정도구와 소진경첩을 측정하기 위해 Pines등이 개발한 도구를 픽 은회가 번역 보 완하여 사용한 소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4이었으며, 소진 측정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83이었다. 자료분석에서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및 백분율을 구하였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에 대한 각 항목에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 간의 관계는 Pearson Ca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및 소진경험간의 관계를 극명하기 위해 ANOVA,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정도는 최저 140점에서 최고 234점으로 평균평점 3,44 점. 표준편차 ±22.089로 나타났으며, 범주 별로 환자의 행동(3.60 ), 직장에서의 장래성 과 지지(3.52),역할과 간호지식 (3.50), 간호업무 및 근무시간(3.43), 간호사 자신문제 ( 3.30), 대인관계 (3.27)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70% 이상이 스트레스를 경험한 문항을 각 범주별로 보면. 환자의 행동 범주에서는 '환자가 자해를 시도할 경우(89.4%)': '환자의 잠정적 자살시 도에 대해 우려가 될 경우(79.0%)', '환자의 예후가 점점 나빠질 경우(79.0%)', '상태 나 쁜 환자가 공격적인 행동을 할 경우(77.8%)'로 나타났다. 간호사 자신문제 범주에서는 '내 스스로가 환자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를 느낄 경우(7 3.0%)', '내 스스로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할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72.0%)',로 나타났 다. 역할과 간호지식 범주에서는 '정신간호에 대한 기본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경우(72.8%)' , '계속 교육을 통해 간호사 스스로 발전할 기회가 없을 경우(72.0%)', '정신과 간호사로 서의 역할에 갈등을 느낄 경우(72.0%)''새로운 이론이나 최근의 지식을 익힐 기회가 없을 경우(71.6%)'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범주에서는 '간호업무에 무관심하고 타성에 젖은 간호사와 일할 경우(73.0%)' , '용인과의 갈등이 있을 경우(70.6%)',로 나타났다. 직장에서의 장래성파 지지 범주에서는 '의사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경우(76.2%)', '수행한 업무에 보람을 느끼지 못할 경우(73.2%)': '간호업무에 비해 봉급이 적을 경우(7 2.6%)', '동료 간호사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경우(70.8%)'로 나타났다. 간호업무 및 근무 시간 범주에서는 '밤근무를 계속해야 할 경우(78,0%)', '갑자기 근무 스케줄이 바뀌어 개인적으로 지장을 줄 경우(72.8%)', '필요시 원하는 근무시간에 근무 하지 못할 경우(72.4%)', '환자 치료에 대해 치료팀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71.2 %)'로나타났다. 3. 대상자가 지각하는 소진경험의 정도는 '병원당국 및 간호행정에 만족한다((3.9)', ' 만족한 나날이다(3.1)' 순이며 가장 낮은 순위의 문항은 '간호업무를 수행하기가 귀찮다( 1.6)'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평점은 2.420점이고, 표준편차는 ±8.876이었다. 4.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소진경험 정토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r=.3300 p<.001)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연령 (F=2.75, p<.05), 결 혼여부(t=2.17, p<.05), 정신과 병동에서의 현직 위(t=2.12,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ress degree and Burnout degree of Psychiatric Hospital Nurses. A survey design was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e total population of 102 Nurses of 2 Psychiatric Hospital in Seoul ,and 1 Psychiatric Hospital in Kung Ki Do,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 to April 30, 1988. The research Instrument a questionaire format was used that I made on the basis of reference books, previous studie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stress tool consisted of 52 items, each with a five point rating scaled and the Burnout tool consisted of 20 items, each with five point rating scale. in the study there liability coefficients by cronbach's e test was .944 for the stress scale and .830 for the Burnout scale. Data was Analyzed by computer using the sass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ean and Starndard Devi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stress and Burnout items.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otal mean between stress scor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Burnout scor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ellows: 1. The stress degree ranking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category, ‘patient's behavior(3.60)’, ‘provision and supporting in occupation(3.52)’,‘Role and Nursing Knowledge (3.57)’. ‘Nursing service and hours of duty (3.43)’,‘Nurse Herself Problem (3.30)’, ‘Interpersonal Relation (3.27)’. 2. Considering the statement of each category on which the stress was experienced over 70%. To the category of Patient's Behabior, ‘case of patient selfinjury (89.4%)’,‘The worry of a patient provisional suicide (79.0%)’, ‘poor in proginosis gradually of Patient (79.77)’, ‘Aggressive behavior in poor condition patient (77.8%)’. To the category of Nurse Herself Problem ‘Inability in solving, a patient's problem for herself (73.0%)’, ‘Un preparation of under standing others (72.0%)’, ‘Physical unhealthy of herself (69..6%)’. To the category of Role and Nursing Knowledge, ‘shortage of basic knowledge and ski11 about Psychiatric Nursing (72.8%)’. ‘Lack of progressing chance through lasting education (72.O%)’, ‘Lack of obtaining chance of new theory and the latest knowledge(71.6%)’, ‘Peeling of role anxiety as a Psychiatric Nurse (72.0%)’. To the category of Interpersonal Relation, ‘working with a indifferent and lazy Nurse about Nursing service (73.0%)','Anxiety with white gawn (70.6%)', 'Anxiety with a doctor (68.0%)'. To the category of Provision and supporting in occupation unreasonal entertainment from a doctor (76.2%)', 'Having not worth about doing service (73.2%)','Lew salary as compared with Nursing service (72.6%)', 'unreasonable entertainment from a staff Nurse(70.8%)'. To the category of Nursing service and hours of duty.'case of lasting night duty (78.0%)', 'Infringment of Individual life from changing of sudden schedule of duty (72.8%)','case of being notable to work at time a Nurse wants (72.4%)', 'Having different opinions of therapeutic team about the patient Therapy (71.2%)'. 3. The Burnout degree ranking of subject according to 20 items,'satisfaction to hospital authority and Nursing administration (3.9)', 'satisfaction to daily worthing (3.1)' the lowest ranking item was 'Thinking it too much through to Nursing service (1.6 )', mean was 2,420 scores and standard delhi aliens was 8,876. 4. High mutual relations was appeared between stress degree and Burnout degree of subjects (r=.3300, p <.001). 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stress degree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 Iy significant difference for ;age (F=2.75, P<.05), Marital status (t=2.17, P<.05), the present class in Psychiatric Hospital (t=2.12, p<7.05). 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Burnout degree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lengths of Nursing experience in Psychiatric Hospital (F=7.084,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high degree in stress and Burnout of Psychiatric Hospital Nurse. Method for relieving and adaptation to Psychiatric Nurse's stress and Burnout showed be foun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신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he psychiatric hospital nurse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7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yung Nam-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