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 : 대조군 연구

Other Titles
 (A) case-control study for risk factors of cervical cancer 
Authors
 고은나 
Issue Date
1992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으로서 현재까지 알려진 임신횟수, 출산횟수, 결혼연령, 유산횟수, 흡연유무, 종교, 결혼상태, 경구피임약복용, 자궁경부암 조기검진횟수, 야채 및 과일선호정도 등이 우리나라의 여성에서도 위험요인 여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연세의료원에 내원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실시하였다. 환자군은 연세의료원에서 1987년 1월부터 1990년 12월사이에 세포진 검사와 자궁정부 생검에서 동시에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된 222명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1989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세포진 검사결과 정상이면서 자궁암조기진단센타에 등록된 605명을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다변수 로지스틱모형의 설정에 들어갈 변수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X**2검정을 비차비의 계산을 위해서는 다변수 로지스틱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피내암을 제외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으로서는 흡연을 하는 경우에 비차비가 2.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첫 임신연령이 19세 이하인 경우, 이혼이나 사별을 한 경우, 출산횟수가 5회이상인 경우의 비차비가 각각 1.46, 1.16. 1.32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상피내암을 포함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으로서는 흡연군, 출산횟수가 5회이상인 경우의 비차비가 각각 2.09, 1.71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은 흡연과 많은 출산횟수로 보여지며, 특히 앞으로 여성의 흡연인구를 감소시키는 것이 여성들에게서 자궁경부암 발생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영문]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The cases were composed of patients who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from Jan.

1987 to Dec. 1990 in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otal of 222 diagnosed cervical cancer cases were reviewed in comparison with 605 normal control cases that visited the Yonsei Cancer Detection Cente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screened by the X**2-tdst, which were entered into the multiple logistic model to calculate the odds ratios for risk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excluding cervical carcinoma in situ, were calculated. The controlled odds ratios for each group were as follows; 2.05(p<0.05) in the cigarette smoking group,

1.46(P>0.05) in the first pregnancy under 19 years of age group, 1.16(p>0.05) in the divorced or widowed group and 1.32(p>0.05) in the 5 or more parity group.

2. The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including cervical carcinoma in situ. were calculated. The controlled odds ratios of the cigarette smoking group and the 5 or more parity group were 2.09(p<0.05) and 1.71(p<0.05), respectively.

According to our results, there 7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ervical cancer as well as for multiple parity of 5 or over. Additionally, if 1,he prevalence rate of cigarette smoking could he lowered, there should also he a decreased in the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9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