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05

Cited 0 times in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연구 : 상호교제 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transactional analysis of nurses' communications 
Authors
 고옥자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간호원이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유형과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탐색적 기술연구로서 환자와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간호원은 자신의 의사

소통을 이해하고 자신을 수용할 수 있어야 된다는 생각아래 시도되었다.

Eric Borne의 상호교제 분석 이론을 이론적 기틀로 선택하였고 연구의 대상으로 1차는

K대 부속 병원 내과 병동의 환자 24명을 임의로 선정하였고 2차는 상기 병원 내·외과 병

동의 간호원 34명 전부와 이들이 간호상황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대했던 환자를 연구 대상

자로 선택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비구조적 관찰법과 녹음기, 그리고 본연구자가 작성한 대화분석을 위한

준거틀이다. 준거틀은 Berne의 상호교제 분석 이론을 기초로 하고 1차의 연구 대상자에서

얻은 자료를 종합 분류하여 '부모' '성인' '아동'의 세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자료 수집 기간으로, 1차는 1987년 1월 19일부터 1월 24일까지 5일 간이었고 2차는 198

7년 2월 16일부터 2월 20일까지 5일 간이었다. 자료 수집은 1명의 관찰자에 의해서 시행

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간호원의 일반적 특성,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특성 분석, 간호원

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환자의 의사소통유형 변화, 간호상황에 따른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은 모두 다 실수와 백분률로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원이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으로 68.8%를 나타냈고. 부모형은 3

0.5%, 아동형은 6.7%로 나타났다. 간호원의 부모적·성인적 의사소통을 내용 별로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부모적 의사소통에는 지지적인 언어가 12.3%, 비지지적인 언

어가 87.7%로 구성되어 있고, 비지지적인 언어에는 명령 및 권위적인 언어 40.6%, 강요적

인 언어 15.2%, 훈계적인 언어 13.8%, 동조를 구하는 언어 10.9%, 비평적인 언어가 5.8%,

관례적인 언어 0.7%의 순으로 나타났다. ② 성인적 의사소통에는 질문식의 언어가 75.5%

로 나타났으나, 이중 6하원칙의 질문은 6.4%였다. 그외에 사실에 대한 정보 제공의 언어

9.6%,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언어 5.8%, 설명적인 언어 4.2%, 문제해결 방안의 언어 2.

6%, 추측의 언어 1.0% 객관적 인식의 언어 1.0%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환자의 의사소통 유형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① 간

호원의 성인적 의사소통에 따른 환자의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이 77.5%, 아동형이 15.1%

, 부모형은 0.0%이다. ② 간호원의 부모적 의사소통에 따른 환자의 의사소통유형은 아동

형이 93.5%, 성인형이 5.8 %, 부모형은 0.0%이다.

3) 간호상황에 따라서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입원시에 간호원이 간호력을 조사할 때의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이 100

%로 나타났다. ② 교육시에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은 부모형이 72.7%, 성인형이 27.3%의

순으로 나타났다. ③ 투약시에 간호원의 의사소통유형은 성인형이 76.2%, 부모형이 23.8

%로 나타났다. ④ 주사시에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이 55.7%, 부모형이 42.9%,

아동형이 1.4%로 나타났다. ⑤ 활력증상 (체온, 맥박, 호흡 그리고 혈압)측정시에 간호원

의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이 67.6% 부모형이 31.3%, 아동형이 1.3%로 나타났다. ⑥ 병실

순회시에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은 성인형이 69.9%, 부모형이 29.5%, 아동형이 0.6%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과 특성을 Berne의 상호교제 이론으로 분석·판단해볼

때 간호원의 의사소통 유형이 주로 성인형이고, 간호원이 성인형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

할수록 환자의 의사소통 유형도 성인형으로 나타나서 간호원의 의사소통이 바람직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고 하겠으나, 내용적으로 분석해볼 때 폐쇄형의 질문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 과제는 간호 상황에서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연구

가 계속되어야 하며 이를 재검정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We have made an exploratory, descrip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he communications encountered in nursing activities. Employing the

method of non-structural observations, we monitored the various communications that

were made over the period February 16 to February 20, 1987 by the 34 nurses in the

medical-surgical ward of the Attached Hospital to the Medical College of

K-University

Under the theoretical frame of the Berne's Transactional Analysis, collected

samples of the communic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ego states:

Parent, Adult and Child.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s that were used as

clues for assigning an ego state to each communication are listed in the Appendix.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describe the nurses'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 examined how the frequency distribution

among the three ego states varies with the nature of nursing activities. We also

examined in what ego state patients respond to the varying ego states of nurses'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rses are found to use the Adult type communications most frequently.

The Adult ego state comprises 68.8% of all the communications, the Parent state

30.5% and the Child state almost none. The nature of the nurses' communications was

further examined for each ego state. (1) More than two-thirds of the Adult type

communications were made in the questionary pattern. However, it is a surprise that

the open-ended type of questions comprises less than one-tenths of all the

questionary communications. (2) When the nurses made the communications in the

Parent ego state, they used expressions that are primarily of non-supportive

nature. This may be one of the reasons why the nurses ale frequently criticized for

beiong directive, authoritative, admonitory, and cold.

Second, the ego state of the patients' responses i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ego state of the nurses' stimuli.

(1) When the nurses made the communications in the Adult ego State, 77.5% of the

patients' responses were also in the Adult ego state. None of the patients

responded in the Parent ego state when the Adult type stimuli were given. (2) When

the nurses initiated communications in the parent ego state, the patients assume

almost exclusively the Child ego state. When the Parent type stimuli were given,

93.5% of the patients' responses were in the Child ego state, and only 5.8% were in

the Adult ego state, with the Parent ego state being none.

Third, the ego state of the nurses' communications is found to depend on the kind

of nursing activities. (1) The nurses employed the Adult type communications

exclusively when they admitted the patients. (2) The nurses took the Parent ego

state, when teaching the patients. (3) For the medications, more than two-thirds of

the cases took the Adult ego state, only about a quarter of the cases took the

Parent ego state. (4) The nurses used the Adult type and Parent type communications

roughly in half and half, when they administered injections to the patients. (5)

The nurses relied on the Adult ego state more frequently than on the Parent ego

state, when they monitored the vital signs of the patients. (6) The nurses used the

Adult type communications again more frequently than the Parent type ones, when

rounding the ward.

Finally, one should not be misted to conclude that the nurses make effective

communications with the patients because they employ the Adult type comnunications

most frequently. It is true that the Adult ego state is the most desirable one

nurse should take to make the communications effectively. However, a close look

into the Adult type communications sampled i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urses

employed the close-ended questions predominantly rather than the open-ended ones.

Because the nurses are to gather only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from the

patients by posing the close-ended question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nursing communicat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03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