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2 1188

Cited 0 times in

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 패턴 및 호흡 기능의 운동학적 특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도현-
dc.contributor.author최홍식-
dc.date.accessioned2015-06-10T12:45:27Z-
dc.date.available2015-06-10T12:45:2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issn1229-218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03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상적인 발성 중에 호흡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발성 시 공명, 조음기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호흡과 성문 및 발성 기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음성, 성문 및 호흡 통합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성인 집단 55명, 성문의 불완전한 폐쇄를 보이는 양성성대질환자 20명 및 성대마비환자 15명을 포함한 총 90명을 대상으로 /아/모음 연장발성 시 호흡의 패턴과 호흡의 운동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아/모음 연장 발성 시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희귀분석 결과, 호흡의 동적 기능 중 전체 폐용량에 대한 흉부와 복부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비교햇을 때, 흡기와 호기 시 흉부의 기여도는 양성성대 질환군이 정상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성대마비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최대 흡기량 및 호기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호흡 패턴의 형태를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항 로지스틱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양성성대 질환군과 성대마비환자는 정상군에 비해 역행(paradoxical)호흡, 흉식호흡, 그 다음으로 복식호흡을 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성대 내전 위치와 질량 변화로 인하여 호기류의 밸브 기능인 후두에 문제가 생길 때,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기존의 흉부를 주로 사용하는 호흡 패턴으로는 효율적인 음성 산출이 어렵다. 따라서 일상 대화와 같이 긴 발화나 큰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복식 호흡을 통해 적절한 성문하압을 형성하고, 호기류를 증가시켜 성대 진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성치료 시 호흡 훈련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extent129~152-
dc.relation.isPartOf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언어청각장애연구)-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 패턴 및 호흡 기능의 운동학적 특성-
dc.title.alternativeSpeech breathing pattern and kinematic breathing function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dysphonia: /a/ vowel production-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성희-
dc.contributor.googleauthor남도현-
dc.contributor.googleauthor최홍식-
dc.contributor.googleauthor최흥식-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1246-
dc.contributor.localIdA04223-
dc.relation.journalcodeJ01991-
dc.subject.keywordspeech breathing pattern-
dc.subject.keywordkinematic breathing function-
dc.subject.keyworddysphoni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m, Do 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ong Shi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Nam, Do Hyu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oi, Hong Shik-
dc.rights.accessRightsfree-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29-
dc.citation.endPage1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언어청각장애연구), Vol.11(3) : 129-152, 2006-
dc.identifier.rimsid38757-
dc.type.rimsART-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 1. Journal Paper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