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737

Cited 0 times in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ability in Proportion to Crown-to-Implant Ratio in the Different Maxillary Bone Condi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종관-
dc.contributor.author조규성-
dc.contributor.author채중규-
dc.contributor.author최성호-
dc.date.accessioned2015-05-19T17:35:48Z-
dc.date.available2015-05-19T17:35:4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issn1229-54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08448-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목적: 3차원 유한요소법(3-D FEA)은 3차원구조의 응력분산을 연구하는데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골질과 골 량을 가지는 위축된 상악 후방 구치부에서 치관-임플란트 비율에 따른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제2소구치가 결손된 상악 유한요소 모형이 이번 연구에 사용되었다. 이 모형을 해면골량에 따라 3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첫번째 실험군은 해면골이 12mm이상인 군으로, 두번째 실험군은 5mm의 해면골에 이식된 골을 가지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세번째 실험군은 이식된 골의 골질에 따라 두 개의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구개측 교두와 중심와에 각각 수직으로 200N 힘과 구개측 교두에 사선으로 200N 힘을 가였다. 연구성적: 중심과 구개측 교두에 수직으로 힘을 가했을 경우에는 치관-임플란트비에 따라 응력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구개측 교두에 사선으로 힘을 가했을 경우 치관-임플란트비에 비례하여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면골이 12mm 이상인 군에서는 치관-임플란트비가 2.0인 경우 0.5의 치관-임플란트비를 가지는 경우보다 3배나 큰 응력을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에 중심 수직 부하와 측방 수직 부하를 가했을 경우 치관-임플란트 비에 따른 응력의 차이는 없었고 사선으로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치관-임플란트 비에 정비례하여 응력이 증가하였다. 임플란트 주변골에서의 최고 응력은 임플란트 목주위의 구개측 피질골에서 나타났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Implantology-
dc.publisherImplantology-
dc.relation.isPartOfImplantology-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ability in Proportion to Crown-to-Implant Ratio in the Different Maxillary Bone Conditions-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eriodontology (치주과학)-
dc.contributor.googleauthorSeung-Hwan Youn-
dc.contributor.googleauthorWon-Phil Park-
dc.contributor.googleauthorDo-Hyung Lim-
dc.contributor.googleauthorHan-Sung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Kyoo-Sung Cho-
dc.contributor.googleauthorJung-Kiu Chai-
dc.contributor.googleauthorChong-Kwan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Seong-Ho Choi-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3810-
dc.contributor.localIdA04024-
dc.contributor.localIdA04081-
dc.contributor.localIdA00914-
dc.relation.journalcodeJ0314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ong K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Kyoo S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i, Jung K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eong Ho-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o, Kyoo S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ai, Jung Kyu-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oi, Seong Ho-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Kim, Chong Kwan-
dc.rights.accessRightsfree-
dc.citation.volume12-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6-
dc.citation.endPage3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Implantology, Vol.12(4) : 26-38, 2008-
dc.identifier.rimsid35581-
dc.type.rimsART-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Periodontics (치주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