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07

Cited 0 times in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한 단계적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범-
dc.date.accessioned2025-07-17T03:15:54Z-
dc.date.available2025-07-17T03:15:54Z-
dc.date.issued2025-04-
dc.identifier.issn0301-287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6634-
dc.description.abstract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악궁의 성장 차이로 인해 과도한 수평피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악 전치가 안정적인 접촉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과개 교합이 발생하며, 전치부의 심미와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복을 통해 과개 교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출된 하악 전치의 높이를 조정한 후, 이에 맞춰서 상악 전치의 위치와 길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때 전치부의 심미, 발음과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임시 수복 기간을 거쳐야 하며, 발치와 임플란트 치료가 동반될 경우 수복 단계가 늘어날 수 있다. 본 환자는 전치부를 포함한 다수의 임플란트와 자연 치아의 고정성 보철 수복을 위해 안면 스캔을 활용하였다. 구강 외 정보를 기반으로 임시 보철물을 단계적으로 제작하고 이를 최종 보철물로 전환함으로써, 기능과 심미를 향상시키고자 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Korean, English-
dc.publisher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대한치과보철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한 단계적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dc.title.alternativeStepwise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facial scan i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rosthodontics (보철과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함상민-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영범-
dc.identifier.doi10.4047/jkap.2025.63.2.130-
dc.contributor.localIdA01567-
dc.relation.journalcodeJ01493-
dc.identifier.eissn2005-3789-
dc.subject.keyword과개 교합-
dc.subject.keyword치과 임플란트-
dc.subject.keyword부정교합-
dc.subject.keyword구강회복-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Young Bum-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영범-
dc.citation.volume63-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30-
dc.citation.endPage14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3(2) : 130-141, 2025-04-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Prosthodontics (보철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