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청소년 담배제품별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의 관련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향리-
dc.date.accessioned2025-04-18T05:04:48Z-
dc.date.available2025-04-18T05:04:48Z-
dc.date.issued2024-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4756-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약 청소년 담배제품별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의 관련성 배경 및 목적 세계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처음 흡연 경험 나이는 낮은 편이며, 청소년의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청소년의 담배 구매장소와 구매용이성과의 관련성이 밝혀져 왔다. 최근에는 청소년이 담배 구매용이성을 더 쉽게 느끼는 구매장소를 알아보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지만, 국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담배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2021년 9월부터 2022년 7월까지 만 13세-39세를 대상으로 진행된 질병관리청의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만 13-18세까지의 청소년 604명을 대상으로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만 13-18세 청소년들의 담배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모든 담배제품 사용 군에서 친구, 선배, 성인에게서 담배를 구매한 청소년이 담배 구매용이성이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전자담배 본체(전자기기)를 온라인을 통해 구매했을 때 담배 구매용이성이 매우 높았다. 최근 30일 동안 담배를 구매경로한 적 없는 청소년에 비해 온라인을 통해 전자담배의 본체(전자기기)를 구매했을 때의 구매용이성은 각각 액상형 전자담배 본체(전자기기) 14.33배(95% CI 3.17-64.82), 궐련형 전자담배 본체(전자기기) 13.83배(95% CI 3.15-60.80)로, 일반담배, 전자담배의 액상/스틱보다 높았다. 결론 청소년들은 담배 구매장소와 구매방법에 따라 구매용이성 인식이 달랐으며 친구, 선배, 성인에게 대리구매하거나, 전자담배 본체(전자기기)를 온라인 구매 시 특히 구매가 용이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해 다양한 담배 구매장소와 구매방법에 따른 차별화된 조치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차단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청소년이 담배를 획득할 수 있는 담배 구매장소와 구매방법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핵심어: 구매장소, 구매방법, 구매용이성, 대리구매, 온라인 구매 경험 ABSTRACT Correlation between Purchase Locations, Methods, and Perceived Accessibility of Tobacco Products among Adolescents Hyang Lee Yoo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eejin Kimm, Ph.D) Background and Purpose Compared globally, the age of first smoking experience is relatively low in South Korea, and the current usage rate of electronic cigarettes among adolescents is increasing.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tobacco purchase locations, methods, and perceived accessibility. However, research in South Korea on this topic is limited compared to international effor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locations, methods, and perceived accessibility of tobacco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obacco purchase accessibil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utilized online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from September 2021 to July 2022, targeting individuals aged 13 to 39. For the subset of 604 adolescents aged 13-18,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locations, methods, and perceived accessibility. Result The findings for adolescents aged 13-18 revealed that those who purchased tobacco from friends, seniors, or adults perceived higher accessibility to tobacco products across all tobacco product categories. Additionally, purchasing electronic cigarette devices (hardware) online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accessibility compared to not having purchased tobacco in the last 30 days. The odds ratios for purchasing electronic cigarette devices online were 14.33 (95% CI 3.17-64.82) for liquid-type electronic cigarette devices and 13.83 (95% CI 3.15-60.80) for pod-type electronic cigarette devices, higher than traditional cigarettes and e-cigarettes (liquid/stick). Conclusion Adolescents' perceptions of ease of purchase differed depending on where and how they purchased cigarettes, and they felt that purchasing was especially easy when purchasing from friends or purchasing electronic cigarettes online. To prevent youth smoking, differentiated measur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 various places and methods of purchasing cigarettes, and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and continuous research are needed. Key words: Purchase Locations, Purchase Methods, Perceived Accessibility, Surrogate Purchasing, Online Purchase Experien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청소년 담배제품별 구매장소 및 구매방법과 구매용이성의 관련성-
dc.title.alternativeCorrelation between Purchase Locations, Methods, and Perceived Accessibility of Tobacco Products among Adolesc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Hyang L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