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120

Cited 0 times in

Discovery of predictive biomarkers for oncolytic virus therap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Other Titles
 전이성 신세포암에서의 암살상 바이러스의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의 탐색 
Authors
 장원식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Dept. of Urology (비뇨의학교실) 
Degree
박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면역관문억제제와 혈관생성억제제는 전이성 신장암의 일차 치료제로써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일부 환자에게만 나타나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암살상 바이러스인 JX-594 (pexastimogene devacirepvec, Pexa-vec) 는 여러 전임상 및 임상연구에서 적은 독성을 보이면서도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전이성 신장암 마우스에 JX-594를 투여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신장암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4가지 돌연변이 유전자 (VHL, PBRM1, SETD2, BAP1) 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이성 신장암 마우스에 JX-594 와 혈관생성억제제인 sunitinib을 각각 투여했을 때 sunitinib 치료군은 초기 전이성 신장암에서는 원발암과 폐 전이 병변 모두에서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으나 후기 전이성 신장암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반면 JX-594 치료군은 초기 및 후기 전이성 신장암 모두에서 원발암과 폐 전이 병변의 크기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JX-594 치료 군에서 종양 침윤 CD 4/8+ T 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증가시킴으로써 원발암 및 폐 전이 병변에서 종양 내 미세 환경의 리모델링 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 VHL, PBRM1, SETD2, BAP1 돌연변이가 있는 4종류의 세포주 유래 종양 이종 이식 (Cell line-derived tumor xenograft, CDX) 마우스에 JX-594 치료 시 BAP1 돌연변이 종양에서 다른 돌연변이 (VHL, PBRM1, SETD2) 종양에 비해 상대적 치료 반응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Interferon beta (IFN-β) 발현은 BAP1 돌연변이 세포주에서 다른 돌연변이 세포주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JX-594 처리 이후에는 가장 높은 비율로 회복되었다. 본 연구는 JX-594 가 전이성 신장암에 대한 치료 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BAP1 돌연변이는 JX-594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써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임상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582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Urology (비뇨의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Jang, Won Sik(장원식)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082-0381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69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