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579

Cited 0 times in

일반암과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 이환에 대한 차이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아-
dc.date.accessioned2022-08-23T01:53:50Z-
dc.date.available2022-08-23T01:53:50Z-
dc.date.issued2022-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6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of morbidity of mental disorder in general cancer and woman cancer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 and relevance of mental disorder according to gynecologic cancer type, ag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nthusiastic action and treatment along with interest in mental problem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 and present it as basic resource for prevention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ample cohort DB, among 1,077,583 eligible subjects in the sample cohort from 2002 to 2011, 2,050 female subjects diagnosed with general cancer or woman cancer 2 years after entering this study cohort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agnosed with general or woman cance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the risk factors for mental disorder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Log-rank test, and Cox-proportional hazard model. SAS 9.4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wo years after entering the study cohort from 2002 to 2011, 1987 women were diagnosed with general cancer or woman cancer, 1440 were diagnosed with general cancer and 547 were diagnosed with woman cancer. There were 215 patients (14.9%) for mental disorder in general cancer and 67 patients (12.3%) for mental disorder in woman canc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por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e risk of psychiatric morbidity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eve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the group divided into under 40 years of age and over 40 years of age, when the risk of mental disorder was confirmed after diagnosis of general cancer or woman cancer while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 group under 40 years old (HR=1.07, 95% CI=0.56-2.08) identified a high risk,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When the risk of mental disorder was confirmed in the group below 50% of income level and the group above 50% in the control of other variables, the risk was high in the group above 50% of income level (HR=1.07, 95% Cl=0.72-1.45),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not identified. By subdividing woman cancers into general cancer, breast cancer, and gynecological cancer,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rbidity of mental disorder within 2 years after cancer diagnosi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between groups(p=0.040).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the mental disorder hazard ratio of gynecological cancer(HR=1.14, 95% Cl=0.82-1.58) was confirmed to be 1.14,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ddi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mental disorder morbidity within 1 year and 5 years after diagnosis of general or woman cancer, respectively. Comparing mental disorder morbidity within 1 year showed similar results as comparing mental disorder morbidity within 2 years, and comparing mental disorder morbidity within 5 year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disorder morbidity of subjects diagnosed with general cancer.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when the morbidity of mental disorder was confirmed while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s a result of an analysis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mental disorder morbidity in general cancer and woman canc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ly identified variable as a related risk factor while controlling the variables affecting mental disorder transmission was 40 years old or old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insurance claims data, not the data originally constructed for the study, so it was difficult to reflect the detailed cancer stage(TNM) and recurrence of cancer,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mental disorder morbidity.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reflect the specific stage and recurrence of cancer, it suggested that age, income level, comorbidity, and disability could become risk factors for morbidity of mental disorder.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accessibility of woman cancer patients to the psychosocial aspect for treatment and help them with activities such as research, education, and social policy provis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암과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 이환 위험을 파악하고, 나아가 부인과 암종별, 연령별, 사회경제적인 특성에 따른 정신질환 발생 차이 및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암 환자들의 삶의 질과 높은 연관성을 갖는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적극적인 대응과 치료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예방 및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건강보험 공단 표본 코호트 DB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11년까지 표본 코호트 자격대상자 1,077,583명 중 본 연구 코호트에 들어온 후 2년 뒤 일반암 또는 여성암을 진단받은 여성 대상자 205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일반암 또는 여성암을 진단받은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Chi-square test로 확인하였으며, 정신질환 이환의 위험 요인은 Kaplan-Meier, Log-rank test,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4을 사용하였다. 2002년부터 2011년동안 본 연구 코호트에 들어온 후 2년 뒤 일반 암 혹은 여성암을 진단받은 20세 여성 대상자는 1987명으로, 일반암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1440명, 여성암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547명이다. 일반암에서의 정신질환은 215명(14.9%),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은 67명(12.3%)로 두 그룹 간의 유의한 비율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암진단 후 2년 이내에 정신질환에 이환될 확률은 일반암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40세 미만과 40세 이상으로 나눈 그룹에서의 일반암 혹은 여성암 진단 후 정신질환 위환 위험도를 확인했을 시 40세 미만 그룹(HR=1.07, 95% CI=0.56-2.08)에서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소득수준 50%이하 그룹과 50% 초과 그룹에서의 정신질환 이환 위험도를 확인했을 시 소득수준 50%초과 그룹(HR=1.07, 95% Cl=0.72-1.45)에서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암, 유방암, 부인과 암으로 여성암을 세분화하여 암진단 이후 2년이내 정신질환 이환율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분석을 시행하였고,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040).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부인과암(HR=1.14, 95% Cl=0.82-1.58)의 정신질환 이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일반암 혹은 여성암 진단 후 1년, 5년 이내에 정신질환 이환을 비교하기 위하여 추가 분석을 시행하였다. 1년이내에 정신질환 이환을 비교한 경우는 2년 이내에 정신질환 이환을 비교하였을 때와 비슷한 경향의 결과가 보였고, 5년 이내 정신질환 이환을 비교하였을 때는 일반암을 진단받은 대상자의 정신질환 이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신질환 이환 위험에 대해 확인했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암과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 이환에 대한 차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정신질환 이환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관련이 있는 위험 요인으로는 40세 이상의 연령임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본래 연구를 위해 구축된 자료가 아닌 보험 급여 청구 자료를 활용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기에 연구에 사용된 변수가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한정되어 있어 정신질환 이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되는 암의 세부 병기, 재발 여부 등의 반영이 어려웠으나 연령, 소득 수준, 동반질환, 장애 여부가 정신질환 이환에 위험 요소가 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하여, 여성암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정신사회적인 측면으로의 접근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 교육, 사회적 정책 마련 등의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겠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일반암과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 이환에 대한 차이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morbidity of mental disorders in general and woman canc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un Ah-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