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681

Cited 0 times in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 : 고령화연구패널조사(2008년, 2016년)를 이용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아름-
dc.date.accessioned2021-12-24T00:06:24Z-
dc.date.available2021-12-24T00:06:24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6038-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 Objective : In 2018,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65≥) exceeded 14.3%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the case of Western welfare states, since the 1990s the ‘active aging’ has been newly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ging society. In 2020, WHO defined ‘active aging’ as the process of aging that leads to active life through opportunities for health, participation, and safety in the multi-dimensional domains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Most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with cognitive decline using only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or health and participation index factors that are components of active ag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cognitive decline by using the active aging index(AAI),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elderly's activity ability and healthy aging. Method : This study utilized the 2nd(2008) and 6th(2016) of the aging research panel(KLoS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37 people with a K-MMSE score at least 24 points and at least 55 years of age as of 2008. As of 2016, the subjects with a K-MMSE score of less than 24 were selected as the cognitive decline group.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64.8 years old for men(standard deviation, SD : 6.83) and 64.0 years old for women(SD : 6.48). The active aging index(0 to 1) was measured by health, participation, safety score and their average score in 2008.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decline. Multivariate correction model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 residence, marriage) and health behaviors(smoking, drinking, exercising). Result : The mean scores of each active aging index were 0.64 ± 0.22 points for health index 0.56 ± 0.17 points for participation index, and 0.70 ± 0.24 points for safety index. The mean score of the overall active aging index was 0.56 ± 0.17 points.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correc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the cognitive decline, the odds ratio to be included in cognitive decline group after 8 years was 1.32(95% CI: 1.06-1.64) in low-health index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mid-level group. In the participant index, the low-leve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1.52(95% CI: 1.20-1.94) compared to the mid-level group. In the safety index, the odds ratio for cognitive decline in the lower level group was 1.59(95% CI: 1.26-1.99),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level group. Compared to the mean score of the overall active aging index of each group, the low-leve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1.69(95% CI: 1.36-2.11) than that of the mid-level group, and the high-level group had 0.87(95% CI: 0.63-). 1.20). Conclusion : In the Korean elderly aged 64.4 years(SD : 6.67), the low active aging index group showed a 69% higher risk to be included in the cognitive decline group after 8 years of follow-up. In terms of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decline and health index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However, the index of participation and saf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even though controlling for disruption variables(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health but also participation and safety as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health factors but also participation factors and safety factors as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ocial factors and participation and safety factors for active aging of the elderly. 배경 및 목적 :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3%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서구 복지국가들에서는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로 1990년대부터‘활동적 노화’담론이 새롭게 발전되었다. 2002년 국제보건기구(WHO)는 활동적 노화를 개인과 조직, 사회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건강과 참여, 보장의 기회를 통해 적극적인 삶을 실현하는 노화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는 건강차원, 참여차원, 안전차원으로 구성된다.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개별 독립변수 또는 활동적 노화의 구성요소인 건강, 참여 차원의 요인만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감소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활동 능력 및 건강한 고령화의 정도를 입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활동적 노화 지수(Active Aging Index, AAI) 측정방법을 활용하여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 제 2차(2008년), 제 6차(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2008년을 기준시점으로 만 55세 이상의 K-MMSE 점수가 24점 이상인 3,0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시점에서 K-MMSE 점수가 24점 미만인 대상자를 ‘인지기능 감소’군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는 64.8세(표준오차 6.83), 여자는 64.0세(표준오차 6.48)였다. 대상자의 활동적 노화 지수는 2008년 기준의 건강, 참여, 안전 점수 및 그 평균 점수로 판단하였고, 이는 각각 0~1점 사이로 표기하였다.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수 보정 모형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 지역, 혼인 유무)과 건강행태(흡연, 음주, 운동여부)를 모형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활동적 노화의 세 가지 차원에 따른 지수 평균은 건강차원 0.64±0.22점, 참여차원 0.56±0.17점, 안전차원 0.70±0.24점이었다. 종합차원 평균은 0.63±0.15점 이었다.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을 다변수 보정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낮은 수준의 건강차원 그룹이 8년 후 인지기능 감소 그룹에 속할 오즈비는 1.32(95% CI: 1.06-1.64)였으며, 이는 중간 수준의 건강 점수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참여차원 점수는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 군의 인지기능 감소 오즈비가 1.52(95% CI: 1.20-1.94)로 유의하게 높았다. 안전차원 점수도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군의 인지기능 감소에 대한 오즈비가 1.59(95% CI: 1.26-1.99)로 유의하게 높았다. 세 차원의 평균으로 산출한 종합차원의 경우, 지수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군 인지기능 감소 오즈비가 1.69(95% CI: 1.36-2.11)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높은 수준 군은 0.87(95% CI: 0.63-1.20)로 나타났다. 결론 : 평균 64.4세(표준오차 6.67)의 한국 고령자에서 활동적 노화 지수가 낮은 경우 8년 추적 후 인지기능이 감소할 위험이 69% 높았다. 건강 차원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수준을 통제한 후에는 인지기능 감소와 건강 점수의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참여 차원과 안전 차원의 점수는 혼란변수(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수준)를 통제한 후에도 인지기능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주요 변수로 건강차원 뿐 아니라 참여차원과 안전차원까지 입체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참여 및 안전 차원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 : 고령화연구패널조사(2008년, 2016년)를 이용하여-
dc.title.alternative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 Using aging research panel survey(2008, 2016)-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A Reum-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