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355

Cited 0 times in

Prognosis of asthma and bronchiectasis overlapped patient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철-
dc.date.accessioned2021-11-18T02:22:14Z-
dc.date.available2021-11-18T02:22:14Z-
dc.date.issued2021-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44-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Asthma and bronchiectasis are common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nd their coexistence is frequently observed, but not well investigated. Objective: We studied the impact of comorbid bronchiectasis on asthma. Methods: A propensity score-matched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Health Screening Cohort database, which includes health examinees aged 40–79 years (year 2002–2003). From 2005 to 2008, 8,034 participants with asthma were weighted based on propensity score in a 1:3 ratio with 24,102 participants without asthma. From the asthma group, 142 participants (1.7%) with overlapped bronchiectasis were identified and 7,892 participants (98.2%) had only asthma. Clinical outcomes of acute asthma exacerbation(s) and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within the study groups. Results: Prevalence of bronchiectasis (1.7%) in asthma patients was three times higher than its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 Patients who had asthma comorbid with bronchiectasis experienced acute exacerbation(s) more frequently than non-comorbid patients (11.2% vs. 5.8%, P=0.007). Time to the first acute exacerbation was also shorter in the asthma-with-bronchiectasis group (1971.7 days vs. 2479.7 days, P=0.006). Although bronchiectasis was identified as a risk factor for acute exacerbation (adjusted odds ratio, 1.8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2.99),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ronchiectasis and all-cause or cause-specific mortality (adjusted hazard ratio, 1.17; 95% CI, 0.67–2.04 and adjusted hazard ratio, 0.81; 95% CI, 0.10–6.11). Conclusions: Comorbid bronchiectasis increases asthma-related acute exacerbation, but it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all-cause or respiratory mortality. Close monitoring and accurate diagnosis of bronchiectasis are required for patients with frequent exacerbations of asthma. 연구배경: 천식과 기관지확장증은 흔한 만성 기도질환으로, 이들 질환의 동반 이환은 빈번하게 관찰된다. 하지만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확장증의 동반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에서 기관지확장증 동반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코호트 연구로, 2002―2003년 기간 중 건강검진을 시행한 40―79세의 수검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5―2008년 기간 중 8,034명의 천식 환자를 성향 점수에 기반하여 1:3 비율로 매칭된 24,102명의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천식 환자 중 기관지확장증과 동반 이환된 환자는 142명 (1.7%), 천식만을 단독 진단 받은 환자는 7,892명 (98.2%) 이었다. 연구 그룹들 내에서 급성 천식 악화 및 사망률과 관련한 임상 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확장증의 유병률 (1.7%)은 국내 전체 유병율에 비해 3배 가량 높은 결과를 보었다. 기관지확장증이 동반된 천식 환자는 단일 천식 환자에 비해 급성악화를 빈번하게 경험하였다 (11.2% vs. 5.8%, P = 0.007). 천식 진단 이후 첫 급성악화까지의 경과 시간 역시 천식 및 기관지확장증 동반 이환 군에서 더 짧았다 (1971.7일 vs. 2479.9일, P = 0.006). 기관지확장증은 천식의 급성악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독립적인 위험인자 (위험비 1.81, 95% 신뢰도 1.09―2.99) 였지만, 총 사망률 및 호흡기계 사망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위험비 1.17, 95% 신뢰도 0.67―2.04 그리고 위험비 0.81, 95% 신뢰도 0.10―6.11). 결론: 기관지확장증의 동반은 천식의 급성 악화를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사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잦은 악화를 경험하는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확장증의 정확한 진단과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Prognosis of asthma and bronchiectasis overlapped patient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Korea-
dc.title.alternative천식과 기관지확장증이 동반된 환자의 예후 분석: 국내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831-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 Chul-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철-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