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01

Cited 0 times in

우울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 제 6기(2014)와 제 7기(2016,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연-
dc.date.accessioned2021-10-20T02:31:33Z-
dc.date.available2021-10-20T02:31:33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164-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In modern society, depression is growing rapidly, and depression is helpless, low self-esteem, and negative thoughts. This negative perception of depression is similar to the acceptability aspect of unmet medical need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unmet medical needs. Methods: The data of 15,558 South Korean adults who were not diagnosed with depression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4, 2016, and 2018 were us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Patient Health Questionaire-9 (Severe depression, mild depression and no). Unmet medical needs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arget associa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reason for unmet medical needs and type of unmet medical needs individually. Result: Among the subjects, 4.7% (732 patients) had severe depression, 13.3% (2,065 patients) had mild depression, and 82.0% (12,761 patients) had no depression. Among them, 28.0% of men and 34.4% women experienced unmet medical needs. Individuals who had severe depression had higher risk of experiencing unmet medical needs in both men and women (men: OR=2.05, 95% CI=1.40-3.00, women: OR=2.20, 95% CI=1.72-2.82). This was followed by participants who had mild depression (men: OR=1.52, 95% CI=1.24-1.85, women: OR=1.68, 95% CI=1.44-1.96). Men had a higher risk of experiencing unmet medical needs when they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high stress levels, and women had a higher risk of experiencing unmet medical needs when they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ow-income families. In particular, severe depressed participants had higher risk of experiencing unmet medical needs due to economic hardship compared to no depression (men: OR=3.01, 95% CI=1.76-5.14, women: OR=2.93, 95% CI=1.96-4.38).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an associ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unmet medical needs among Korean adults who do not diagnosis depression. Th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would help protect those who experience unmet need by making health policy and discussing new approaches to reduce unmet medical needs.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우울과 미충족 의료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미충족 의료의 위험성이 큰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고, 우울과 미충족 의료 사유 및 미충족 의료 기관 유형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질병관리본부에서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및 제7기 1차년도(2016), 3차년도(2018)를 통합한 3개년 자료로써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을 활용하였고, 모든 분석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만 19세 미만과 우울증 진단자를 제외한 총 15,558명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 분석과 관련성 확인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우울 정도와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하였으며, 우울 정도와 미충족 의료의 사유 및 우울 정도와 미충족 의료 기관 유형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각 분석에서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등 모든 독립변수들을 보정하였다. 대상자는 우울증 유병률의 차이를 감안해 성별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각 단계별로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중증 우울을 가진 사람은 4.7%(732명), 경증 우울을 가진 사람은 13.3%(2,065명), 우울이 없는 사람은 82.0%(12,761명) 이었다. 이들 중 중증 우울을 가진 남자 52.3%, 여자 58.6%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경증 우울인 남자는 39.9%, 여자는 46.4%, 우울이 없는 남자는 25.7%, 여자는 30.2%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남녀 모두 우울의 정도가 심할수록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중증 우울 남자: OR=2.05, 95% CI=1.40-3.00; 여자: OR=2.20, 95% CI=1.72-2.82; 경증 우울 남자: OR=1.52, 95% CI=1.24-1.85; 여자: OR=1.68, 95% CI=1.44-1.96), 저소득, 육체직 근로자, 걷기 운동이 적을수록, 근력 운동 횟수가 적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미충족 의료의 경험이 높았다. 우울의 정도에 따른 미충족 의료 하위그룹 분석 결과, 우울이 없는 사람에 비해 중증 우울에서 남자는 1인 가구일 때, 사무직일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사람이, 여자는 1인 가구일 때, 소득 수준이 낮을 때 미충족 의료 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과 미충족 의료 사유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우울이 없는 남녀에 비해 중증 우울이 있는 남녀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오즈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중증 우울 남자: OR=3.01, 95% CI=1.76-5.14; 여자: OR=2.93, 95% CI=1.96-4.38), 마찬가지로 중증 우울을 겪는 남녀의 경우 우울이 없는 사람에 비해 병의원과 치과 양쪽 모두에서 미충족 의료가 있을 오즈가 유의하게 높았다(중증 우울 남자: OR=5.95, 95% CI=3.71-9.55; 여자: OR=4.91, 95% CI=3.36-7.19).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우울이 있는 경우, 그리고 그 정도가 심할수록 미충족 의료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1인 가구, 저소득 여성, 스트레스가 심한 남성의 경우 그 위험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가 보건 정책적 차원에서 우울의 문제를 다시 한번 환기하고, 미충족 의료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논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우울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 제 6기(2014)와 제 7기(2016,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dc.title.alternative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unmet medical needs: The sixth and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016, 2018-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u Ye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