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460

Cited 0 times in

세대 구성에 따른 치매가족원의 우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정선-
dc.date.accessioned2020-12-23T06:00:32Z-
dc.date.available2020-12-23T06:00:3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09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치매가족의 세대 구성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 가구에 비해 치매 환자와 동거 중인 가구의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치매 환자와 동거 중인 가구의 세대 구성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적 수준, 건강 정도에 따른 우울 수준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근 1년 우울 증상으로 정신 상담을 받은 자는 제외한 뒤 치매 가족의 세대 구성을 흥미 변수로 하여 치매 가족이 아닌 가구와 치매가족 1세대, 2세대, 3세대로 구분했고 종속변수인 우울 수준은 PHQ-9 점수를 최적 절단점인 10점을 기준으로 10점 이상의 우울군과 10점 미만의 정상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PHQ-9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s)을 실시했고 치매가족의 세대 구성에 따른 우울을 비교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우울 수준에 미치는 비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을 구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모든 분석에서 치매가족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성별을 범주화시켜 분석했다. 경제적 특성 및 건강 수준과 우울의 관계를 보기 위해 하위 그룹 분석을 실시했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고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치매환자 가구가 아닌 경우의 우울군은 3.5%였고 치매환자 가구의 우울군은 7.9%로 2배 이상 높았으며 치매가족을 세대 구성에 따라 분류했을 때 우울군은 1세대 15.3%, 2세대 5.8%, 3세대 5.4%로 세대 구성이 적어질수록 우울군 비율이 증가했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치매가족이 아닌 가구에 비해 치매가족 1세대가 우울할 Odds ratio가 2.04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95% CI=1.43-2.91), 그 중에서도 남성 치매가족 1세대의 우울할 Odds ratio가 2.65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95% CI=1.71-4.12). 그 외에도 기초생활수급자일 경우,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배우자와 동거중인 기혼자가 아닐 경우, 음주 하지 않을 경우, 흡연자일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고혈압이 아닐 경우, 이상 지질혈증이 있을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울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여성 치매 환자를 남성 배우자 혼자 부양하는 가구가 우울 수준이 높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 연구의 하위 그룹 분석 결과에서 치매에 걸린 아내를 홀로 부양하는 남성 부양자 중에서도 기초 생활 수급자거나, 가구 소득 구간 상 최저소득 구간에 속하는 경우 및 경제적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우울할 Odds ratio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온 결과를 보아 경제적으로 취약할 경우 우울에도 더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에 걸린 아내를 홀로 부양하는 남성 부양자 중에서도 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더 치매 부양의 부담감과 우울을 줄여 줄 대안이 필요하며, 향후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s the population ages, dementia, a major elderly disease, is also rapidly increasing. Dementia is highly dependent on family members because patient's memory, thinking, behavior, and daily activities are impaired. However, most families feel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pressures without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auses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most vulnerable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among dementia caregivers. Methods This study used 2017 data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and excluded those who recently received psychiatric counseling for symptoms of depression of one year.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generation of dementia families were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the dementia family, not the dementia family. Dependent variable of depression was analyzed by dividing PHQ-9 scores by 10 or more depression groups and normal groups of 10 or less based on optimal cutting point. The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PHQ-9 scores. To compare depression with the generation composition of dementia famili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on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on diagnosed depression. In addition,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economic characteristics or health level and depression.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AS software, version 9.4. Results Of the total 175,754 people, 3.6% were diagnosed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depressed people who are not members of dementia patients' families was 3.5%. In comparison, 7.9% of cohabitation with a dementia patient were more than twice as depressed. When dementia famil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generation, the ratio of depression groups increased as the composition of the generation decreased(1st generation 15.3%, 2nd generation 5.8%, 3rd generation 5.4%). When controlling the other variables, the Odds ratio for the 1st generation of dementia famil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2.04(95% CI=1.43-2.91) compared to those non-dementia families, with 2.65 for the 1st generation of male dementia families(95% CI=1.71-4.12). In addition, in this study's subgroup analysis, among male caregivers who support their wife with dementia alone, the poorer the more vunerable they were to depress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depression, especially in male spouses who are financially vunerable and support female dementia patients alone. In a situation when spouse support is increasing due to nuclear familyization and the changing values of elderly people seeking independent life, 1st generation's male caregiver needs an alternative that will further reduce the burden and depression of supporting dementia, and hopefully help set policy directions for 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in the futur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세대 구성에 따른 치매가족원의 우울-
dc.title.alternativeDepression of dementia family member by generation composi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정책관리-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SEON GWA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