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626

Cited 0 times in

수술적 치료만 받은 구강암 환자에서의 생존율 및 예후 인자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진규-
dc.date.accessioned2020-07-16T16:44:50Z-
dc.date.available2020-07-16T16:44:5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59-
dc.description.abstract편평세포암종이 주가 되는 구강암은 근치적 절제가 가능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일차적으로 선택되며, 진행된 암종의 경우 수술적 치료로 최대한 안전 변연을 확보한 후, 보조 요법으로서 방사선 치료가 단독, 혹은 항암화학요법과 병행하여 시행된다. 보조 요법은 진행된 암종에서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보조 요법의 시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양성의 절제연이 명백하게 환자의 생존율을 낮추는 인자임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이에 저자는 구강암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양성의 절제연 외의 조직병리학적 인자를 알아보고자,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만으로 치료 받은 104명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인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경부 림프절 전이 여부는 무질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 모두에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유일한 조직병리학적 요인이었다(P=0.000). 분화도의 경우 무질병 생존율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P=0.102), 전체 생존율의 경우 저분화의 편평세포암종의 환자가 고분화 혹은 중등도 분화 편평세포암종 환자들에 비해 불량한 예후를 보임이 확인되었다(P=0.000). 본 연구 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한 가지는 안전 변연이 5mm 미만인 Close margin과 5mm 이상의 충분한 안전 변연인 Clear margin의 환자 군 사이에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점은 안전 변연의 분류 기준을 다시 정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 논의의 필요성과 Close margin이 확인되었을 경우 보조 요법의 필요성에 대한 결정을 좀 더 숙고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라는 점, 단일 기관의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표본 환자 군의 수가 적어 다변량 분석 결과 상의 신뢰 구간이 넓다는 한계는 있으나 임상가로 하여금 보조 요법의 필요성이나, 원발 부위 혹은 경부 림프절에 대한 추가 수술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보다 가치 있는 치료 가이드 라인을 만들기 위해 여러 기관에서의, 더 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If radical resection is possible, surgical resection is primarily preferred for the treatment of oral cancer, which squamous cell carcinoma(SCC) is predominant. In the case of advanced oral cancer, surgical treatment is firstly performed for acquiring the safety margin as much as possible. After that, radiotherapy is additionally performed solely or in parallel with chemotherapy as an adjuvant therapy. Though an adjuvant therapy can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t tumor, clinicians should prudently decide the needs of adjuvant therapy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several complications following the adjuvant therapy. It is well-known fact that the positive resection margin is a factor decreasing survival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other hist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oral cancer. We performed retrospective histopathologic analysis of 104 patients who were only surgically treated without adjuvant therapy in this hospital.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Nodal metastasis is the only fact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P=0.00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ease-free survival in accordance with differentiation, but the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poorly differentiated tumor was poorer than those with well and moderately differentiated tumor(P=0.000). Another point to note from this study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with close margin which means a safety margin less than 5 mm and those with clear margin which is a safety margin more than 5 mm. This suggests the needs for further discussion of redefining the classification of safety margin and for thorough consideration of adjuvant therapy on patients with close surgical marg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 retrospective study, only a single institution was targeted, and the confidence interval o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was wide due to small number of study patient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need for adjuvant therapy or the need for additional surgery on primary tumor site or cervical lymph nodes. Further research based on more data from several different institutions is needed to create more valuable treatment guidelin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수술적 치료만 받은 구강암 환자에서의 생존율 및 예후 인자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following surgery alone for oral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5890-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n-kyu-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진규-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