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582

Cited 0 times in

진행된 직장암 환자에 있어서 측방 골반 임파선 절제술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창희-
dc.date.accessioned2020-07-16T16:44:22Z-
dc.date.available2020-07-16T16:44:2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47-
dc.description.abstract국소 진행성 중하부 직장암의 표준 치료는 수술 전 항암화 학 방사선치료 (chemoradiotherapy, CRT) 후 전 직장간막 절 제술 (total mesorectal excision, TME)을 시행하는 것이지만 진단 당시 측방 골반 임파선 (lateral pelvic lymph node, LPLN)의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은 다양해 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CRT를 시행한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선택적 LPLN 절제술 (LPLN dissection, LPLND) 여부에 따른 단기, 장기 성적을 비교 분 석하는 것이다. 2006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에서 국소 진행성 직장암으로 진단받을 당시 LPLN 전이가 동 시에 의심되었던 122명의 환자들 중 의무기록의 후향적 검토 를 통해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 수술 후 성적, 조직학적 및 종양학적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TME만을 시행한 군은 77명, TME 와 LPLND를 함께 시행 한 군은 45명이었다. 두 군 간 성별, 나이, BMI 등 기본적인 항목들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종양의 분화도와 임상 병기 역시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TME 군에서 보다 많은 비 율로 최소침습 수술을 시행하였다 (58.4% vs. 33.3%, P=0.009). 수술 시간은 LPLND 군이 TME 군에 비해 42.3분 길었다. (329.1분 vs. 371.4분, P=0.029), 수술 후 30일 이내 합병증은 은 24.7% 와 20% 로 통계적인 유의함은 보이지 않았다 (P=0.616). 최종 N 병기는 TME 군에 비해 LPLND 군이 더욱 진행된 양상을 보였고 (P=0.002), LPLND 를 시행한 환자들 중 실제 로 LPLN 의 전이가 발견된 경우는 9례 (20%)였으며, 획득한 임파선 개수는 LPLND 군이 많았다 (12.3 vs. 23.1, P<0.001). 전체 추적 관찰 기간 41개월 동안 TME 군에서 23명, LPLND 군에서 21명의 재발이 발생했고, LPLND 군의 재발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9.9% vs. 48.9%, P=0.079). 3년 전체 생존률 과 질병 특이 생존률은 TME 군과 LPLND 군에서 각각 90.5 % vs. 85.3 %, P=0.074, 70.6% vs. 54.2%, P=0.065 였다. 국소 진행성 중하부 직장암에서 CRT 후에도 여전히 LPLN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LPLND를 시행한다 면 TME만 시행하는 경우와 비교해 유사한 단기 성적 및 수용 할 만한 종양학적 성적을 얻을 수 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진행된 직장암 환자에 있어서 측방 골반 임파선 절제술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dc.title.alternativeClinical manifestation and prognosis of the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nd 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052-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ang He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창희-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