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296

Cited 0 times in

The neural basis of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self-esteem in adulthood

Other Titles
 부모와의 관계가 성인기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신경적 기저 
Authors
 김은성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gree
박사
Issue Date
2019
Abstract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부모나 자녀가 효율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형성된다. 의사소통은 개인간 관계의 중요한 측면으로 여겨져 왔으며 특히, 부모와 자녀와의 상호작용은 가장 본질적인 관계로 모든 인간관계의 바탕이 되며,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중심인물이다. 그러나 이를 객관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신경학적 연관성을 설명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고, 기존의 연구 역시 대부분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얼굴 표정을 상상하거나 회상하도록 하는 정서적 상황과 얼굴 표정 사진 자극이 주어질 때 감정적 반응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을 조사하였다. 총 대상자는 24명으로 연구 공고를 통해 모집하였다. 자극 유형은 아버지 얼굴-긍정적 상황, 아버지 얼굴-부정적 상황, 어머니 얼굴-긍정적 상황, 어머니 얼굴-부정적 상황의 조건으로 제시되었다. 각 자극은 3초동안 제시되었고, 자극간 간격은 2초였다. 정서적 반응 결과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평가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아버지보다 어머니에 대한 회상에서 부정적 상황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반응 시간의 차이가 긍정적 상황에서 더 늦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결과에서 부모의 주효과는 조거 피질과 아래앞머리회에서 나타났고, 정서의 주효과는 방추상회, 앞대상겉질, 그리고 뇌섬엽 등에서 나타났다. 상호효과는 앞대상겉질과 쐐기앞부분에서 나타났다. 특히, 앞대상겉질과 효과적인 연결관계를 찾기 위해 실시한 정신생리학적 상호작용 분석 결과, 방추상회와 뒤중심회가 강한 연결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부모와 정서적 상태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기전과 통찰력을 제시한다. 또한 높은 자아존중감 형성에 필수적 요소인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의 중요성에 유용한 근거를 제시한다.

Self-esteem is a positive view of one’s own being, and it is 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which plays a major role in enabling parents and children to lead an efficient life. Self-esteem is formed by being continuously influenced by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has generally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is the most essential relationship because it is the basis of all relationships, and parents are the central characters who greatly influence their children as a source of intellectual, emotional, social, linguistic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However, there is a deficit of research which describes the neurological associations that can support those notions objectively, and many of thes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on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rain activity underlying the emotional response to stimuli during the recall of a parent’s facial expressions in various emotional situations. The sample included 24 participants (11 men, 13 women) recruited using local advertisements. The trial types were divided into four conditions: father-positive, father-negative, mother-positive and mother-negative. The behavioral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positive assessment of the mother and the father. However, the negative responses to the negative situations were greater for the mother than for the father. The participants also showed slower reaction times for the positive situations, than for the negative situations. In the imaging results, there was a main effect for parents in the calcarine cortex and the inferior frontal gyrus. Moreover, there was also a main effect for the valence in the fusiform gyrus,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insula, premotor cortex, inferior frontal gyrus, and thalamus. Furthermor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in the ACC and precuneus. Psychophysiological interaction (PPI)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connectivity with the ACC. The PPI results showed tha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ACC and the fusiform gyrus, and between the ACC and the postcentral gyrus were strong.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relation to emotional situation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evi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for high self-esteem.
Files in This Item:
TA0225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1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