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316

Cited 0 times in

A retrospective study evaluating the survival and radiographic outcome of implants with low primary stabil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관주-
dc.date.accessioned2020-07-16T16:40:44Z-
dc.date.available2020-07-16T16:40:4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155-
dc.description.abstract임플란트 치과학에서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골유착을 얻기 위해서는 일차 안정도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져 왔다. 특히 불리한 골질에서는 적절한 초기 고정력을 얻기 위한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해 작은 직경의 드릴, 셀프태핑 드릴, 테이퍼형 임플란트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술적 기법을 사용 했음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의 충분한 일차 안정도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초기 고정력이 낮은 임플란트를 제거하지 않고 치유시켜 골유착을 확보하는 것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는 대립되는 연구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낮은 일차 안정도로 식립된 임플란트의 임상 결과와 임플란트 실패와 관련된 요소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2008년 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초기 고정력이 낮아 커버 스크류나 임시 치유 지대주를 연결시 회전된 임플란트로 치료를 시행한 156명 환자와 169개 임플란트를 연구 대상으로 최소 34일에서 최대 9.28년의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9.9세였고 수술의 유형, 골질, 임플란트의 상하악 위치, 보철물의 갯수에 따른 기술 통계학적 분석, 생존분석 (생명표법 및 Kaplan-Meier 생존분석), 그리고 수직적 변연골 변화량 측정을 기반으로 한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STROBE 지침을 준수하였다. 연구 결과, 7개 임플란트가 실패하여 임플란트 및 환자 수준에서 94.74 % (95% CI: 89.11 – 97.50), 94.33 % (95% CI: 88.30 -97.30)의 누적 생존율을 나타냈다. Kaplan-Meier 분석에 따르면 골이식 등 상위 술식을 동반하지 않고 식립한 군 (87개) 에서는 임플란트 실패가 없었고 상위 술식을 동반하고 식립한 군 (82개) 에서 7개 임플란트 실패가 발생 하였으며 두 군의 누적 생존률 간에는 유의미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p = 0.005). 골질 (p = 0.059), 상하악의 위치 (p = 0.254), 보철물의 갯수 (p = 0.369) 에서는 군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93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수직적 변연골 변화량을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 상위 술식을 동반하여 식립한 군과 동반하지 않고 식립한 군의 0-2년 관찰 기간 내의 평균 변연골 변화량은 각각 -0.19 ± 0.08mm, -0.19 ± 0.11mm 였고 2-4년 관찰 기간 내에서는 각각 -0.56 ± 0.26mm, -0.60 ± 0.28mm로 나타났다. 수술 유형과 임플란트의 상하악 위치에서 군 간 변연골 변화량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후향적 연구의 한계 내에서 일차 안정도가 낮은 임플란트의 식립은 임플란트에 부하를 가하지 않는 보호된 치유 과정이 이루어진다면 임플란트 생존률과 변연골 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re is a need of more studies on whether low primary implant stability would negatively influence the success of implant therapy. Therefore,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s outcomes of implants placed with low primary stability and factors that may be related to implant fail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56 patients, restored with 169 implants that presented manual rotation within an observed follow-up time of a minimum of 34 days and a maximum of 9.28 years. Descriptive statistics, survival analyses (life tables and Kaplan-Meier estimates), and radiographic assessment based on marginal bone leve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is original study was adherent to STROBE guidelines. Results: Seven implants failed in 7 patients, rendering cumulative survival rates (CSR) of 94.74% (95% CI: 89.11-97.50) and 94.33% (95% CI: 88.30-97.30) at implant and patient levels, respectively. Kaplan-Meier estimates showed implant loss was found only in advanced surgery group (7 implant loss in 82 implants) when compared to simple surgery group (no implant loss in 87 implants) (p = 0.005),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CSRs between implants under bone quality (p = 0.059), position of the jaw (p = 0.254), and unit of prosthesis (p = 0.369). Marginal bone level (MBL) changes for 93 implant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for a short-term MBL analysis. The mean MBL changes in simple and advanced surgery group were -0.19 ± 0.08 mm and -0.19 ± 0.11 mm (mean ± SD) during 0-2 year interval, and -0.56 ± 0.26 mm and -0.60 ± 0.28 mm (mean ± SD) in simple and advanced surgery group during 2-4 year interval, respectively.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BL changes under type of surgery and implant position of the jaw.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mplant placement with low primary stability might not negatively affect either the survival rates or marginal bone level changes of implants provided that a protected and unloaded healing is guarante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application/pdf-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A retrospective study evaluating the survival and radiographic outcome of implants with low primary stability-
dc.title.alternative낮은 일차 안정도를 갖는 임플란트의 생존률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 분석한 후향적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wan-Joo-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Dental Education (치의학교육학교실)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