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438

Cited 0 times in

국가 암 조기 검진 수검률과 암사망률 변화의 관련성 분석 : 2008년에서 2015년까지 8년 동안의 통계청 사망자료 및 국가 암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진영-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6:32Z-
dc.date.available2018-06-28T07:16:3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935-
dc.description보건정보관리 전공-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암사망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가에서는 암을 조기 발견하여 암사망을 감소시키고자 국가 5대 암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군·구의 국가암수검률과 암사망률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통계청 암사망과 국가 암수검 자료를 확보하였고 8년간 행정구역의 변화가 없는 238개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통계청자료를 통해 암사망자수를 종속변수로, 암수검률과 지역적 특성변수를 독립변수로 두고, 연령별 인구비율을 고려하여 일반화 추정방정식 방법을 이용하여 암수검률과 암사망률 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의 분석결과에서는 남자의 해당년도 위암수검률(p=0.0417)과 대장암수검률(p=0.016)이 높은 지역의 암사망자수는 증가하였고 남자의 2년 전 대장암수검률(p=0.0023)과 간암수검률(p=0.0012)이 높은 지역의 암사망자수도 증가하였다. 여자의 분석결과에서는 여자의 해당년도 간암수검률(p=0.0213)과 2년 전 간암수검률(p=0.0002)이 높은 지역에서의 간암사망자는 증가하였고, 1년 전 유방암수검률이 높은 지역에서의 유방암사망자수는 증가(p=0.0223)하였으나, 2년 전 유방암수검률이 높은 지역에서의 유방암사망자수는 감소(p=0.0303)하였다. 또한, 모든 암종별 분석에서 요양기관의 수가 많은 지역에서의 암사망자수는 감소(p<.0001)하였고 의료 인력의 수가 많은 지역에서의 암사망자수도 증가하였다. 결 론 암수검률이 암사망자수에 미치는 영향은 암종과 성별에 따라 상이하였고 해당년도, 1년 전, 2년 전 암수검률과 암사망자수간의 관련성에서도 결과의 차이를 보였으며, 지역의 요양기관 수와 의료 인력의 수에 따라 암사망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국가 차원에서 암검진 프로그램의 질 향상과 검진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국가 암 조기 검진 수검률과 암사망률 변화의 관련성 분석 : 2008년에서 2015년까지 8년 동안의 통계청 사망자료 및 국가 암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relationship of changes between screening rate of national cancer early detection and cancer mortality rate utilizing mortality data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national cancer screening data for 8 years from 2008 to 2015-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n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