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676

Cited 0 times in

노인장기요양 중증대상자의 장기요양서비스와 응급실 이용 분석 : 65세 이상 치매 질환 및 증상자 대상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애경-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6:25Z-
dc.date.available2018-06-28T07:16:2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909-
dc.description건강증진교육전공-
dc.description.abstract인구 고령화와 치매 등 만성질환 발병 증가로 국가차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시행하고 있다. 응급실을 이용한다는 것은 평소 건강상태가 관리되지 않거나 급박한 증상이 일어나게 됨을 의미하는 변수로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치매 질환 및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와상도가 높은 장기요양 중증대상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과 응급실 이용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하여 201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65세 이상 치매 질환 및 증상을 가지고 있는 장기요양 중증대상자 15,231명 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기요양서비스 미이용군은 181명(1.2%), 이용군은 15,050명(98.8%, 재가서비스 28.9%, 시설서비스 69.9%)이었다. 장기요양서비스 미이용군과 장기요양서비스 이용군은 재가서비스 중위수인 494(회)를 기준으로 재가서비스 이용 하위군, 재가서비스 이용 상위군으로, 시설서비스 중위수 696(회)을 기준으로 시설서비스 이용 하위군, 시설서비스 이용 상위군으로 나누어 응급실 이용 관련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미이용군에 비해 시설서비스 이용을 많이 한 경우(OR 0.45, 95%CI 0.32-0.63) 응급실 이용이 적은 반면, 장기요양 2등급에 비해 1등급(OR 1.13, 95%CI 1.03-1.23), 남자일수록(OR 1.23, 95% CI 1.11-1.37), 일반에 비해 의료급여(OR 1.45, 95%CI 1.04-2.01), 만성질환개수가 없음에 비해 2개 이상(OR 1.13, 95%CI 1.01-1.26),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인 경우(OR 1.10, 95%CI 1.01-1.20)는 응급실 이용과 관련되어 있었다. 장기요양 중증대상자들은 재가서비스보다 시설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시설서비스를 많이 이용한 경우 응급실 이용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별, 노인장기요양 중증도, 취약계층이 응급실 이용과의 관련요인으로 나타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정책강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 미이용자의 수가 매우 적어 미이용자와 이용자를 비교하기에는 충분치 못한 조사로 생각되며,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 효과는 이용 양상과 비교가 가능한 연구 설계를 통한 다차원적인 전향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인장기요양 중증대상자의 장기요양서비스와 응급실 이용 분석 : 65세 이상 치매 질환 및 증상자 대상으로-
dc.title.alternativeAsssociation with emergency department use and Long-term care beneficiaries among patients who got serious grades such as diagnosis or symptom of dementia in Korean elderly-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Ae K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