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천막위 수막종 수술 전후의 뇌전증에 연관된 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한결 | - |
dc.date.accessioned | 2017-07-11T16:10:39Z | - |
dc.date.available | 2017-07-11T16:10:39Z | - |
dc.date.issued | 2016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91 | - |
dc.description | 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서론: 수막종은 비교적 흔한 뇌종양으로 전체 두개내 종양의 20% 가량을 차지한다. 두개내 수막종 환자에서 발작은 빈번하게 일어나는 신경학적 증상이다. 저자는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발작을 일으키는 연관 인자들을 조사하여 불필요한 항뇌전증제의 투약을 줄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5년 9월까지 강남세브란스 병원에서 천막위 수막종 수술을 시행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 뇌영상, 뇌파검사기록, 발작의 특성, 절제 범위, 병리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07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이중 58명(18.9%)의 환자가 수술 전후 발작을 하였으며 이중35명(11.4%)은 수술 전 증상으로 발작을 하였고 40명(13.0%)의 환자는 수술 후에 발작을 보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수술 전후의 발작과 연관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종양근처 부종(OR=2.299; 95% CI, 1.174-4.505, p=0.015)과 종양의 크기(OR=1.020; 95% CI, 1.002-1.039, p=0.030)였다. 급성 증상성 발작은 이전의 뇌 병변의 과거력(OR=6.211; 95% CI, 1.130-34.483, p=0.036)과 뇌신경 증상(OR=4.348; 95% CI, 1.143-16.393, p=0.031)이 연관되었고, 지연성 발작의 경우 종양의 크기(OR=1.046; 95% CI, 1.018-1.074, p=0.001)와만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수술 전후 발작의 가장 큰 위험인자는 종양근처 부종과 크기였으며 향후 뇌전증으로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지연성 발작은 종양의 크기만이 연관되었다. 수막종 환자에게 예방적 항뇌전증제는 권장되지 않으나 종양의 크기가 큰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겠다.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천막위 수막종 수술 전후의 뇌전증에 연관된 요인 | - |
dc.title.alternative | Factors associated with perioperative epilepsy of supratentorial meningioma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department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 |
dc.contributor.localId | A05235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Han-Kyeol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한결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