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 641

Cited 0 times in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 시 인슐린 추가 투여 관련 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성자-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33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40-
dc.description역학건강증진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배경 및 목적 :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뇌하수체전엽호르몬의 분비 능을 파악하여 뇌하수체기능의 저하 유무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검사 방법으로 확진과 수술 및 방사선 치료 전ㆍ후의 경과 관찰에 도움이 된다. 표준화된 검사 방법으로 인슐린 유발 저혈당을 시행하였을 때 목표치 혈당으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으로, 추가 인슐린 투여군의 특성을 파악하여 초기 인슐린 용량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뇌하수체종양센터에서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를 받은 환자 364명 중 최근 1년 이내 신체계측과 생화학검사 결과가 있는 환자 243명 중 남자 102명(42.0%), 여자 141명(58.0%)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AS 9.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슐린 추가 투여와 관련된 요인에 대하여 기술통계인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인슐린 추가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특성을 평균검정(t-test), 교차분석(χ²-test)으로 알아보았다. 인슐린 추가 투여와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표준화된 방법으로 초기 인슐린 용량을 결정하여 투여하고도 목표치 혈당으로 떨어지지 않아 인슐린을 추가 투여한 군은 전체 243명 중 56명(23.1%)이고 인슐린 추가 비투여군은 187명(76.9%)이었다. 인슐린 추가 투여군은 비투여군과 비교하여 남자, 공복혈당, 중성지방, 총 인슐린 투여량이 높았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낮았다. 단변수분석에서 인슐린 추가 투여군은 남자 38명(37.3%), 여자 18명(12.8%)으로 남자가 많았으며(p<.001), 체질량지수는 인슐린 추가 투여군 남자에서 25kg/m² 이상이 24명(47.1%)으로 비만이 많았다(p=.003). 공복혈당이 100mg/dL 이상 126mg/dL 미만인 공복혈당장애군은 24명(61.5%)이 인슐린 추가 투여를 받았다(p<.001). 중성지방은 인슐린 추가 투여군이 176.1±124.2mg/dL로 비투여군 110.2±60.4mg/dL보다 높았고(p=.001). 총 인슐린 투여량은 인슐린 추가 투여군에서 남자 17.0±4.2U, 여자 13.7±2.6U이고 비투여군는 남자 9.8±2.9U, 여자 7.9±2.8U이었다(p<.001). 그러나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인슐린 추가 투여 여부와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인은 공복혈당 한 가지였다. 성별, 공복혈당, 당뇨병, 체질량지수, 진단명,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OMA-IR, HOMA-ß를 보정한 모형에서는 공복혈당장애인 경우 공복혈당 100mg/dL 미만에 비해 인슐린 추가 투여군의 오즈비가 6.20배(95% Cl, 1.82-21.14) 높았다. 결론 :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 시 인슐린 추가 투여와 관련된 요인은 공복혈당장애였다. 공복혈당은 초기 인슐린 용량을 예측하는데 체중과 진단명 외에 유용한 관련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추후 본 연구결과를 초기 인슐린 용량결정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application/pdf-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 시 인슐린 추가 투여 관련 요인-
dc.title.alternativeClinical parameters associated with additional requirment of insulin during combined pituitary function tes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Sung J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