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7 736

Cited 0 times in

체질량지수 및 주관적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숙희-
dc.date.accessioned2017-02-23T11:16:17Z-
dc.date.available2017-02-23T11:16:1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6135-
dc.description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체질량지수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연구배경 : 대사증후군은 당뇨병, 고혈압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공중보건문제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에 있어 가장 예민한 지표로 체질량지수가 제시되었으며 주관적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주관적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이 연구는 제5기(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 총 16,537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주관적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표본이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사용한 결과 산출 및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추가적으로 연령별(50세미만, 50~60세, 60세이상), 폐경 전후(여자)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는 총 16,537명(남자 6,978명, 여자 9,5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 1,252명(17.9%), 여자 2,445명(25.6%)이다. 남자에서 체질량지수는 정상 체중군을 기준으로 과체중군 8.295배(5.347- 12.867), 비만군 75.246배(50.043-113.141)이고 여자는 과체중군 6.499배(5.331-7.923), 비만군 27.395배(22.439-33.445)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비차비가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 - 주관적 체형인식에서는 남·녀 모두 체질량지수가 같을지라도 비만으로 인식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차비가 증가하였다. 특히, 남자는 여자보다 자신의 체형에 대해 좀더 객관적으로 평가하므로 체질량지수에 주관적체형인식이 부가되면 대사증후군을 더 잘 설명할 수 있었다.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차비가 증가하였고, 비흡연군에 비해 현재 흡연군은 남자 1.431배(1.085-1.887), 여자 1.559배(1.092-2.227)였다. 여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차비가 감소하였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군이 1.216배(1.039-1.424), 폐경이 시작된 군은 1.398배(1.055-1.853)로 비차비가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 주관적 체형인식, 연령, 흡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여자는 교육수준, 경제활동, 폐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체질량지수와 함께 체질량지수 - 주관적 체형인식을 확인하였다. 이 지표는 자신의 체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남자에서 좀 더 설명력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고 앞으로 대사증후군을 예측할 수 있는 체형 관련 변수를 찾기 위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체질량지수 및 주관적체형인식과 대사증후군 관련성-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Sook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