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643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십이지장충 감염경로에 관한 역학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소진탁-
dc.date.accessioned2015-12-24T10:53:32Z-
dc.date.available2015-12-24T10:53:32Z-
dc.date.issued196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44-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十二指腸蟲이 經口와 經皮兩法으로 感染이 成立된다 함은 일찍부터 醫學者들의 認證하는 事實이다. 感染期仔蟲이 皮膚 또는 口腔內에 侵入하기까지의 經路는 그 民族의 食生活, 風習, 生活環境, 農耕方法에 따라 다르며 感染에 差異를 招來할 것이다. 우리 나라의 十二指腸蟲感染率은 遂年增加 領向에 있으며 肝디스도마와 아울러 國民의 2大寄生蟲病으로 呼稱되고 있다. 우리 生活樣式의 어떠한 特殊性이 濃厚感染을 助成하고 있으며 우리의 慣習인 人糞使用이 어떠한 狀態下에서 어떠한 經路로 幼蟲의 皮膚侵入이 可能한지, 人糞 施肥菜蔬가 어느 程度 汚染되었으며 어떻게 飮食調理의 段階를 通過하여 口腔內에 無難히 侵入할 수 있는지 其他 이에 關聯되는 여러 가지 問題에 對해서 아직도 未知의 領域이 許多하다. 本 硏究는 以上의 여러 未開拓分野에 對하여 學者들의 ??을 檢討해가며 그들의 未備를 指摘하며 우리의 生活方式과 環境에 따라 調査와 實驗을 通하여 韓國人의 十二指腸蟲感染 經路에 關한 疫學的考察을 하고자 한다. 調査實驗順序와 內容 第1, 十二指腸蟲幼蟲의 經口, 經胃 및 經皮感染의 比較實驗 Loose(1896)사 經皮汚染의 確證을 發表한 以來 오랫동안 經皮만이 ??한 感染路로 믿어 왔으나 Yokogawa 및 oise(1925)가 經口感染實驗 以後 많은 硏究者들에 依하여 感染態度에 대한 各種比較實驗이 盛行되어 왔으며, 經口나 經皮를 不拘하고 感染後의 幼蟲의 體內分 布그 生存狀態는 거의 差異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同一한 條件 밑에서 各 經口, 皮膚感染을 實施할 때의 感染差, 體內幼蟲의 生態에 對한 比較實驗은 없다. 本實驗에서는 太鉤蟲(Ancylostoma caninum), 두비니鉤蟲(Ancylostoma duodensale), 아메리카鉤蟲(Necator americanus)의 3種感染幼蟲 各 同數式을 마우스의 口腔內, 胃內 및 皮膚에 接種하여 各 基感染率, 體內各臟器內의 分布狀況, 生存日數(66日까지 觀察) 等을 調査하여 大要 다음 結論에 達하였다. 1. 經口, 經胃, 經皮의 3感染法間에는 大差없이 比等하게 感染이 成立된다. 2. 各臟器內의 幼蟲分布狀況은, 大鉤蟲은 絶對多數가 筋肉內에서 發見되고, 約10%의 幼蟲은 最終檢査 66日까지 生存하였다. 3. 두비니鉤蟲에서도 大多數가 筋組織에서 發見되나 相當數의 幼蟲은 內臟에서도 發見되었고, 66日後까지 生存한 幼蟲은 全接種數의 1-2%에 不過하다. 4. 아메리카鉤蟲은 그와 反對로 急速度로 成長한 幼蟲이 筋組織에서와 比等하게 肺와 肝에서도 發見되었고, 또 急速度로 減少되어 6日後에는 大部分이 消滅되었다. 本實驗을 通하여 數三의 新知見을 얻은 中, 特히 同一條件下에서는 經口, 經胃, 經皮間에는 大差없이 成立됨은 興味있는 事實이며, 本硏究의 諸實驗에 있어서 基本的見解를 賦與하였다. 第2. 各種土壤內에서의 十二指腸蟲幼蟲의 生態調査 土壤의 性質에 따라 蟲卵과 幼蟲의 孵化發育에는 큰 差異가 있으며, 砂質土에서 가장 良好하고, 粘土에서 가장 不良하다함은 同知의 事實이나 從來 學者들이 實驗에 使用하여온 土壤은 그 全部가 自然土壤을 分析分類한 것이며 所謂 土壤學上 基準에 依한 人工組成 土壤으로서의 實驗例는 接치 못하였다. 本硏究에서는 土壤處分法에 依據하여 砂, 微砂, 粘土, 砂壤土, 微砂壤土, 粘壤土 等의 6種 土壤을 組成하여 蟲卵 및 幼蟲의 孵化發育狀態를 觀察함으로써 嚴密한 意味의 各成分 土壤에서의 成績과 自然土壤에서의 그것과 比較觀察하였고, 아울러 土壤의 水分通過速度 및 水分保有力試驗 等 度와의 關係를 竝行하여 大要 다음의 結論을 얻었다. 1. 水分通過速度(吸收力)는 砂質土壤含有量에 正比例한다. 2. 水分保有力은 粘土含有量에 正比例한다. 3. 蟲卵을 水分飽和土壤과 混合할 때 微砂土, 微砂壤土, 砂壤土에서 孵化發育이 良好하고, 砂土, 粘壤土, 粘土에서 不良하다. 4. 蟲卵을 土壤表面에 撤布할 때 砂土에서 가장 死滅이 速하다. 5. 孵化發育은 水分半飽和狀土壤에서 가장 良好하다. 砂質土에서 孵化發育이 甚히 良好하나 死滅 또한 速한 것은 表土가 容易히 乾燥하는 까닭임이 實驗的으로 證明되엇으며, 이는 晴雨가 反復되는 砂質土住民이 低感染狀態에 있음은, 表土의 關係에 있을 것으로 推測한 Beavor의 所論을 立證하는 것이다. 以上의 實驗을 通하여 人工組成土壤內의 成績이 自然土壤內에서의 그것과 一致符合됨을 보았으며, 이는 自然土壤을 土台로 하는 各 實驗成績의 價値를 判定하는 데 基本材料를 提供하는 것으로 믿는다. 第3. 土壤內 十二指腸蟲幼蟲에 對한 各種基肥의 影響 人糞施肥로 汚染된 土壤에 榮農上 各種肥料의 撤布가 感染幼蟲生存에 어떠한 役割을 하는지 그 間의 消息을 究明함은 重要한 問題다. 이 方面의 硏究에 對해서는 거의 放置된 感이 不無하며, 다만 石灰窒素의 分解課程에서 遊離 發生하는 Calcium Cyanamide, Cyanamide의 毒性作俑에 着眼하여 實施한 實驗 및 數三化學肥料로서의 實驗報告를 볼 뿐이요, 餘他의 化學肥料 및 民間自家製造肥料로서의 實驗은 없다. 本實驗에서는 짚재, 톱밥, 堆肥 等 在來民間肥料와 酸安門, 過燐酸石灰, 生石灰, 化加里, 銷石, 石灰窒素 및 尿素 等 10種 肥料를 擇하여 각 0.3%의 比率로 自然 砂壤土와 混合後 感染幼蟲을 撤布하여 其成績을 觀察한 바 다음의 結論을 얻었다. 1. 石灰窒素混合土壤內에서는 大多數幼蟲이 12-24時間 以內에, 48時間內에는 그 全部가 死滅한다. 2. 짚재, 톱밥, 堆肥等 在來肥料는 何等의 殺蟲力이 없다. 石灰窒素 以外의 肥料, 特히 짚재, 톱밥은 民間에서 殺蟲力이 있는 것으로 믿어 왔으나 根據가 없음이 明白하다. 第4. 都市 및 農村地帶土壤의 十二指腸蟲卵 및 幼蟲의 汚染狀態 經皮感染이 汚染土壤에서 由來한다 함은 周知의 事實이다. 土壤汚染調査는 疫學的見地 에서 極히 重要視되는 問題다. 이러한 調査文獻은 諸外國에 있어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韓國에 있어서는 日政時 서울 市內에서 數個處의 土壤을 調査한 바 있으나 農村地帶에서의 調査는 아직 그 例가 없다. 本 調査에서는 都市(서울市)와 農村(全北益山郡八峰農村) 各 1個地帶를 擇하여 都市에서는 衛生, 非衛生地帶, 農村에서는 部落周邊의 6種別土壤(健田, 患田, 堆肥舍周邊, 共同 便所周邊, 路邊, 不毛地)의 幼蟲汚染狀態를 調査하여 大要 다음의 結論에 達하였다. 1. 都市 非衛生地帶路邊土壤內에서는 十二指腸蟲卵을 發見하였으나 衛生地帶에서는 發見치 못하였다. 2. 農村土壤中 健田, 不毛地에서는 幼蟲을 發見치 못하였으나 患田, 堆肥舍周邊, 共同便所周邊 및 路邊土壤에서는 9, 1-27, 3%의 幼蟲汚染을 發見하였다. 우리의 都市와 農村土壤, 特히 後者에 있어서의 汚染狀은 韓國의 溫和한 氣候, 適當한 濕度와 人糞施肥習慣이 盛行하므로 冬節을 除하고는 蟲卵孵化發育의 好培地의 役割을 하고 있으며, 한便, 春夏秋 3節을 通하여 裸足生活하는 農民들의 經皮感染이 復되어 送年 感染率이 增加되고 있음을 如實히 證明해 주고 있다. 第5. 菜蔬流에서의 十二指腸蟲幼蟲에 關한 二三生物學的調査 및 實驗 菜蔬가 經口感染의 主役割을 하리라 함은 一般이 推測해오는 事實이지만 實際로는 이에 關한 調査와 硏究가 甚히 不備하다. 卽 (1)市販菜蔬의 幼蟲汚染狀如何, (2)土壤內에서 孵化發育한 幼蟲이 어떠한 生物學的條件下에서 菜蔬로 移動해 오는지, (3)菜蔬의 어느 部 分에 付着이 많은지, (4)菜蔬의 水洗는 幼蟲을 洗去할 수 있는지, 이러한 諸問題에 對해서 類似한 調査와 實驗이 없지는 않으나 幼蟲을 對象으로 한 實驗은 (2)에서 뿐이요, 餘他는 未知의 事實에 屬한다. 本硏究에서는 以上 4項目에 對하여 調査와 實驗으로써 다음과 같은 事實을 알았다. 1. 서울市內 市販菜蔬의 約 11, 1%는 幼蟲으로 汚染되었다. 2. 幼蟲은 이슬(路)이 내릴 때, 卽 夜間에서 와, 雨天에서만 菜蔬葉部에 移動附着하고, 日光이 나서 乾燥할 때는 地表로 全部 潛入한다. 3. 幼蟲은 菜蔬의 附着部에 가장 많고, 根部로 갈수록 적다. 4. 3回以上 菜蔬를 水洗하면 幼蟲은 洗去된다. 卽 市販菜蔬가 患者人糞으로 栽培된 事實, 溫氣 있을 때 菜蔬를 採取하는 일, 3回 以內 水洗로 生食하는 習慣은 곧 經口汚染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第6. 김치 및 各 調味料에서의 十二指腸蟲卵 및 幼蟲의 抵抗力實驗 菜蔬가 體內에 攝取되는 最終段階인 김치 및 各 調味料內에서 蟲卵과 幼蟲이 死滅되는지, 또는 그 時間的關係如何는 經口感染의 與否를 決定할 것이자. 韓國人에 있어서는 그 主食과 竝稱되는 김치에 對해서 이러한 實驗을 實施한 것은 韓及高氏의 1例뿐이며, 그 蟲 卵死滅 判定基準의 未備와 試驗材料 및 種別의 減少로 김치에 對한 全貌를 把握하기 어렵다. 本硏究에서는 17種의 韓國式 및 西洋式 各種 김치와 13種의 各種調味料를 擇하고 常用 및 濃厚濃度로 區分하여 蟲卵, 被 前幼蟲 및 被 幼蟲을 投入하여 送時, 送日 그 抵抗力을 檢査하여 다음과 같은 事實을 밝혔다. 1. 김치內에서 蟲卵은 3日以內, 被 前幼蟲은 5分以內, 被 幼蟲은 15種 김치內에서는 24時間以內, 2種 김치內에서는 48時間以內에 全部 死滅한다. 2. 芥子(1gm/dl)와 마늘(20gm/dl) 汁에서는 被束幼蟲의 抵抗力ld 가장 弱하여 24時間以內에 死滅한다. 3. 芥子와 마늘을 加熱하면 殺蟲作用이 顯著히 低下한다. 4. 김치의 作用은 蟲卵과 幼蟲의 抵抗力에 別影響이 없다. [영문] It has been frequently proved that hookworm infection mostly comes through skin and rarely through mouth. The incidence of hookworm infection among the people of Korea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so represents and alarming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The custom of using human excretions as fertilizer, barefoot life throughout the farming seasons, the custom of eating Kimchi (a common and an important kind of food in daily use.), favorable condition of climate and moisture. These are all major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hookworm disease in this country. It might be supposed that different food habits, customs, living environment and farming systems in various nations would produce a different method of infection. Koreans, for the most part do not know as to how their peculiar customs affect the spread of this disease. In this investigation, an attempt was made to clear up the routes of infection according to the customs and food habits, and some basic point in regard to the modes of infection.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modes of infection, or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the larvae of Ancylostoma coninum, A. duodenale and Necator americanus in relation to different methods of inoculation in the mouse. The results prov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yields at different times and from different tissues. The results in general, however, were essentially the same regardless of the mode of inoculation. In the second part, because all former experiments on the development of hookworm larvae were made with natural soil, in the present experiment it was decided to use six different kinds of soil. Sand, sandy soil, silt, silt soil, clay and clay soil were used following the descriptions of the U.S. soil texture, to demonstrate moro clearly the differences of natural soil compos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water absorption was determined by the sand content and,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to retain water was determined by the content of clay in the soil. When mixed with soil under saturated water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larvae were favorable in sandy and silty soil ; whereas they showed poor development in the sand and clay. A good development also occured when eggs were applied on the top of the soil. Regarding the amount of moisture required, the hatching of eggs was excellent under half saturated soil conditions. The fact that the larvae disappeared rapidly in the sandy soil, despite good development of eggs, would be due to the top soil drying up quick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lead to a clear conclusion that the development of larvae depends upon both the type of soil and its moisture content. In the third part, the experiment was made on the fate of filari-form larvae in soil mixed with various chemical fertilizers (7 kinds) and several domestic manures (3 kinds), and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wormicidal effects in any of the chemical or domestic manures, except in calcium nitrate when it mixed in the concentration of 0.3% in the soil. In the fourth part, the soil surve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ith hookworm eggs and larvae in the soil of different areas of Seoul city and around a rural village. The damp roadside soils obtained from unsanitary districts of Seoul contained hookworm eggs. Heavy contaminations of infective stage larvae (9. -27.3%) were found from soil polluted with contaminated night-soil, roadside soil, and soil around public latrine and manure heap sheds in the rural area. The soil contamination with hookworm in Seoul and rural areas reveals the existence of fecal matter in the soil which may have been caused by direct pollution through fertilizing or carried by man and domestic animals, as well as by physical agencies, such as rain and streams, providing larvae to infect man via the cutaneous route. In the fifth part played by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market vegetables to examine the contamination with filariform larvae, and some points in the existence of larval migration in relation to the dew fall and rain ; an examination on parts of vegetables, such as loaves and roots as a site for larval migration ; and finally the number of times to wash vegetables for the purpose of removing all larvae. It was found that around 11.1% of the market vegetables were contaminated with filariform larvae. The experiments on larval migration on leaves was confirmed to coincide with the fall of dew and rains. The migration seemed to concentrate more on the part of the leaf attached to the root rather than on other parts of root. On washing vegetables, more than three repeated washing would be necessary to remove all larvae. In the sixth par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Kimchi (Pickle) and its ingredients, mixing hookworm eggs, larvae into Kimchi juice to examine its resistant ability. The Kimchi was made 17 different ways in both Korean and western style, and 13 different elements of Kimchi preparation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All eggs had disappeared within 3 days in all kinds of Kimchi, the rhabditoid larvae were all dead within 5 minutes in the solutions of Kimchi, and filariform larvae completly disappeared in all kinds of Kimchi within 48 hours. Out of 13 substances, garlic and mustard solutions had a remarkable wormicidal effect on eggs and larvae. On the other hand, remarkable weakening of the wormcidal action resulted when both elements were boiled 30 minutes at 100℃. No significant effect on eggs and larvae was shown by the fermentation of the ripening Kimchi. (Author's abstrac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의과대학-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의 십이지장충 감염경로에 관한 역학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n) enidemiological studies on the route of infection of hookworm disease in 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h, Chin Thac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