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35

Cited 0 times in

계획된 보건의료정보가 주민의 건강과 질병행위에 미치는 영향 : 산전교육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문숙-
dc.date.accessioned2015-12-24T10:38:49Z-
dc.date.available2015-12-24T10:38:49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75-
dc.description보건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분만 중에 있는 산모가 경험하는 동통을 완화하여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정서적으로 평온하며, 산모의 분만기전에 따르는 행위의 수행 및 협조정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산전교육을 초산모와 그 배우자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려는 것이다. 대상은 경상북도내 조산소와 모자보건센타에 분만을 위해 임신 38주 이후에 등록한 정상분만이 예상되는 초산모 100명이었으며, 산전교육을 실시한 50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산전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료는 면접과 관찰방법에 의해 수집하였다. 연구기간은 1983년 8월 1일부터 1983년 10월 5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얻었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을 거친 후 사용했다. 즉 행위로서 나타난 반응, 산모의 분만기전에 대한 협조정도와 호흡법 및 힘주기 수행정도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또 산모의 분만에 대한 지식, 초산모의 제 특성, 분만시 신생아의 상태측정에 대한 도구 및 산전교육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에서는 평균치를 중심으로 동통의 정도, 행위적 반응, 정서적 반응은 안정상태와 불안정상태로 나누었고, 호흡법과 힘주기 정도는 양호와 불량상태로 나누었다. 그리고 산모의 협조도는 협조와 비협조로 나누어서 실험군 대조군간의 차이 검정은 κ**2-test를 실시하였다. 또 효과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산전교육을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변수와 일원 분산 분석(ONEWAY-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만시 안정상태 여부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통정도의 차를 보면, 실험군중 안정상태에 있는 산모는 분만 제1기, 2기 모두에 있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 산전교육의 효과지수가 높았다. 2. 실험군중 안정상태에 있는 산모가 대조군에 비해 발한 정도를 제외하고는 동통의 행위적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3. 정서적 반응을 보면 분만 제1기, 2기 모두 실험군중 안정상태에 있는 산모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4.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완전 호흡법 및 힘주기 수행상태를 보면, 분만 제1기, 2기 모두에서 실험군중 수행상태가 양호한 산모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고, 분만 제2기의 효과지수가 더 높았다. 5. 분만시 산모의 협조상태는 분만 제1기, 2기 모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협조적이었다. 그리고 분만 제1기의 산전교육 효과지수가 2기보다 더 높았다. 6. 분만후의 동통은 감각적, 정서적, 및 자각적 표현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실험군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는 없었다. [영문] In this study, programmed health information was given to expectant mothers to test its effects such as reduction in labor pain, a more successful delivery, better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d cooper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One hundred expectant primiparous mothers who registered after 38 weeks of the onset of pregnancy at the midwifery clinic and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in Gyung-byk Province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se mot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50 each with one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given the programmed health information and the other as the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 from August 1 to October 5, 1983.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ehavioural responses which were measured by instruments obtained from a review of references. Responses measured included cooper-ration of expectant mothers in the delivery process and complete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during delivery. Also included in the instrument were questions regarding a mother's knowledge about deliver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para, the newborn's conduction at birth and the delivery of programmed health educations to the mother before delivery. The averages of the analyzed data on the range of the labor pain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responses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into stability ad unstability, those on complete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into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and those on cooperation into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The analyzed data of the two groups was examined by X**2-test to caloulate the effectiveness indexes and then with prepa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ubsidiary variab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ne way analysis of valu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n the range of labor pain, more stable mothers who suffered milder pain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delive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effectiveness index of prenatal education. 2. Physically stabl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behavioral responses except in perspiration. 3. Stabl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more emotional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4. Statistics revealed that mot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ore complete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especially in the second stage. 5. Closer cooperation was achieved by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effectiveness index ran much higher in the second stage. 6.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in the sensory, emotional and self-evaluative expressions proved nonsignifica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계획된 보건의료정보가 주민의 건강과 질병행위에 미치는 영향 : 산전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effect of programmed health information on related health behavior in the community : mainly for expectant mothers-
dc.typeThesis-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e, Moon So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