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97

Cited 0 times in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헌-
dc.date.accessioned2015-12-24T10:35:44Z-
dc.date.available2015-12-24T10:35:4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59-
dc.description보건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이 연구는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그 영향 정도에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상황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노인의 삶의 질은 단일차원적 접근에서 정의하였다. 건강수준은 질병유무, 질병기간, 질병수, IADL, 정신건강, 시력, 청력, 치아상태, 보조기 사용 여부, 사용보조기수 등의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원은 접촉정도와 만족도로 측정하였다. 연구자료는 강원도 1개면의 60세 이상의 노인 296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에서 11뭘 사이에 1:1 개별 면접조사를 시행하여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건강수준을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적 건강상태인 질병에 걸린 경우가 많았으나, 정신건강의 경우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IADL과 정신건강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신체적, 정신적 건강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사회적 지원과 건강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관계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건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들만 투입한 1단계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8%였으며 소득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2단계로 건강관련 요인을 투입한 결과 설명력이 26%포인트 증가한 34%였으며 건강인식도가 유의한 변수로 추출되었다. 사회적 지원을 추가 투입한 3단계에서는 8%포인트 증가한 42%로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였다. 사회적 지원에서는 가족접촉정도를 제외한 사회접촉정도, 사회관계만족도 그리고 가족관계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삶의 질에는 건강관련 요인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라 하겠다. 4.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상황효과를 분석한 결과, IADL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접촉정도의 상황효과가 나타나 사회접촉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IADL의 영향이 커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대한 가족접촉정도, 시력에 대한 사회관계 만족도, 그리고 보조기 사용 여부에 관한 사회관계 만족도의 상호작용 분석에서는 사회적 지원 정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건강관련변수들의 영향력이 커졌다. 이 연구 결과로 미루어 노인의 삶의 질에는 건강수준의 상태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주관적 건강 인식도가 삶의 만족도 평가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보건의료 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구자료가 주로 농촌지역의 노인들이 대상이 된 만큼 전체 노인에 대한 대표성이 불충분하다는 제약점이 있으나,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노인인구 비중이 늘고, 앞으로 점차 증가할 추세임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향후, 노인 의 삶의 질 고양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and to examine the conditional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used in this study was defined by unidemensional approach. The measurements of health status were 1) the presence of sickness, 2) period of sickness, 3) number of sickness, 4) IADL, 5) mental health, 6) eyesight, 7) audition, 8) dental condition, 9) wearing of aid, 10) number of aid worn.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296 rural elderly people aged 60 and the above who were living in one township of Kangwondo, between the time period of October and November 1995.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le respondents had more sickness cases than female respondents, while the former appeared mentally healthier than the latter. Respondents who have lived with spouse or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higher levels of IADL and mental health. Those who were less aged showed higher level of health both physical and mental.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was analyzed, respondents who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ocial and family contacts showed higher level of health status. 3.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ree set of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The first step, which included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as 8% and income was a statis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e second step, by adding health related factors, revealed that the R**2 was increased to 34% by 26% point and the degree of health recognition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e third step, by projecting additionall social support related variables revealed that the R**2 was 42%. 4. The conditional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influence the health status has on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ADL and the degree of social contact interacted, resulting in that the higher degree of social contact boosted the stronger effect of IADL. 2)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on the quality of life is dependent upon degree of family contact. 3) The effect of eyesight on the quality of life is dependent upon degree of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 The lower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the bigger the influence of health related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life became. This study explains that health status is a major factor in predi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aged. Particularly the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was an important factor the satisfaction in living, Therefore active public health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ged population. The data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ir coverage didn't go beyond rural area.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age bracket resident distribution pattern, which is, rural area is more populated with aged people than urban area and this trend is rising. To present more solid data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urther study which would complement the shortcomings is need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Health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dc.typeThesis-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e, He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