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과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의 관련성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윤희정 | - |
| dc.date.accessioned | 2015-12-24T10:13:08Z | - |
| dc.date.available | 2015-12-24T10:13:08Z | - |
| dc.date.issued | 2010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27 | - |
| dc.description | 보건정책관리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이 연구는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이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기요양 조사요원 간의 개인별 편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판정체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강원도, 충청북도 소재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운영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기요양 조사요원 20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전체 응답자의 70%는 여성이었으며, 연령대로는 30-39세가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운영센터 근무경력은 2년-3년 미만이 73.3%이었으며, 78.7%는 간호사?사회복지사 면허증/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었다.5개 영역(52개 항목)의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에서는 신체기능영역과 행동변화영역의 난이도가 가장 높았으며, 간호처치영역의 난이도는 가장 낮았다. 각 영역별 항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신체기능영역에서는 화장실사용하기, 대?소변조절하기, 옷?벗고 입기, 인지기능영역에서는 상황 판단력 감퇴, 행동변화영역에서는 의미없거나 부적절한 행동의 항목이 난이도가 가장 높았고, 간호처치영역에서는 욕창간호와 암성통증간호의 항목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활기능영역에서는 관절제한의 고관절측정 항목 난이도가 가장 높았다.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과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를 주요 설명변수로 하고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특성, 근무지 특성)을 혼란변수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학력이 높아질수록 간호처치영역 평가판정 시 난이도를 더 적게 느끼고,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경우가 행동변화영역에서 난이도를 더 많이 느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직무특성으로는 직급이 올라갈수록 재활기능영역 평가판정 시 난이도를 더 적게 느끼고 인정관리업무 이외의 업무(이용지원, 급여사후 등)를 담당할수록 인지기능과 행동변화영역에서 난이도를 더 적게 느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보건복지 관련 면허증/자격증 보유여부에서는 면허증과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신체기능영역 평가판정 시 난이도를 더 적게 느끼며 타 분야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간호처치영역 평가판정 시 난이도를 더 적게 느끼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노인장기요양보험 현 업무경력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입사 전 근무지 경험여부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입사 전 근무지 경험이 있는 경우가 행동변화영역 평가판정 시 난이도를 더 많이 느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근무지 특성으로는 서울 이외의 지역(경기, 인천, 충북, 강원)으로 갈수록 인지기능영역에서 난이도를 더 많이 느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이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에 따른 개인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평가판정 시 어려움을 느끼는 항목 및 판단기준에 대한 재정비가 요구되며, 담당업무의 정기적인 순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요양 조사요원 선발 시 보건복지 관련 면허증/자격증 보유 여부 및 근무경력을 고려한 전문인력 채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결과를 기초로 향후 장기요양 조사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특성, 근무지 특성 이외의 환경적 특성(허위진술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등급판정에 대한 신뢰성과 형평성을 위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에 2인1조 형태의 방문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지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장기요양 조사요원 특성과 평가판정 수행 난이도의 관련성 | - |
| dc.title.alternative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gents of long-term patient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in evaluating decision performance | - |
| dc.type | Thesis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un, Hee Jeong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