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641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건강보험 요양자중 추간판전위로 입원한 환자의 직장복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정-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3:19Z-
dc.date.available2015-12-24T10:03:1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047-
dc.description산업보건학과 산업보건학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이 연구는 건강보험 대상자 중 추간판전위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퇴원 후 직장복귀일과 정상업무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기 위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된 진료 내역 중 2006년 3, 4월에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ICD-10) 기호를 기초로 다빈도 상병인 추간판전위(M51.2)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술자 381명, 비수술자 4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화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전화 설문조사는 807명 중 조사에 동의한 175명(21.7%)이 전화에 응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추간판 전위증 환자의 직장복귀일 및 정상업무에 소요되는 기간을 살펴보면 먼저 직장에 30일 이전에 복귀한 사람은 105명(60.6%)였고, 정상업무 시작일을 살펴보면 30일 이전에 정상업무를 시작한 사람은 57명(32.6%)이었다. 직장복귀일과 정상업무 시작일을 합한 기간은 최소 17일에서 최대 210일이었다.일반적 특성에 따른 퇴원 후 직장복귀일을 30일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근무기간이 오래된 직장인일수록 퇴원 후 직장에 빨리 복귀하였다.질병적 특성, 보험 가입여부 및 근무 여건에 따른 퇴원 후 직장복귀일에 대해 30일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통원치료기간이 1~2주 미만인 직장인과 병가를 휴가로 대치한 직장인, 급여를 정상적으로 받은 직장인, 합병증 및 다른 손상이 없는 직장인, 그리고 입원기간이 짧은 직장인일수록 다른 직장인보다 퇴원 후 직장에 빨리 복귀하였음을 알 수 있다.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상업무 시작일을 30일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부양가족이 2인인 직장인이 다른 직장인보다 정상업무를 빨리 시작하였다.질병적 특성, 보험 가입여부 및 근무 여건에 따른 정상업무 시작일을 30일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입원기간이 짧은 직장인일수록 정상업무 시작일이 빠름을 알 수 있다.퇴원 후 직장복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직장인들의 퇴원 후 직장복귀일에는 월소득 수준(p<0.05)과 통원치료기간(p<0.01), 입원기간(p<0.001), 회사의 보조 유무(p<0.05), 급여 수급 방법(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월소득이 높을수록, 회사의 보조가 없을수록 30일 이전에 복귀하였으며, 통원치료 기간이 오래될수록, 입원기간이 오래될수록, 급여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했을 경우 직장에 30일 이후에 복귀하였음을 알 수 있다.정상업무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정상업무 시작일에는 입원기간(p<0.05)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따라서, 입원기간이 오래된 직장인일수록 퇴원 후 정상업무를 30일 이후에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본 연구에서 퇴원 후 직장복귀일과 정상업무 시작일에 입원기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장복귀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향후 직장복귀일과 정상업무 시작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인구학적 요인,의학적 요인, 직업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사회학적 요인 등 다각적 측면의 깊이 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ich factors had an influence on return to work and the day they start their work normally.From the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HIRA), selected807 cases of spondylolisthesis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hospital from March to April, 2006. The personal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telephone survey. Finally the data for 175 patients who agreed with offering their information was obtained.The data was analysed by logistic regression and χ2-test using SPSS WIN 11.5.In χ2-test, the length of duty, ambulatory care, unpaid leave, usual salary, complications, length of hospital stay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return to work and length of hospital stay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day they start their work normally. The patients who had 1 or 2 weeks ambulatory care after discharge, unpaid leave, usual salary , no complications showed the shorter period of return to work.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s with return to work were usual salary, ambulatory care, length of hospital stay, salary level and support of company. High monthly income, no support of company gives an effect to short return to work.The patients who had longer length of hospital stay needed 30days or more to start their usual work.-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건강보험 요양자중 추간판전위로 입원한 환자의 직장복귀-
dc.title.alternativeReturn to work of the hospitalized spondylolisthesis patient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Mi Ch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