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6 1033

Cited 0 times in

종합병원 유료간병인 이용행태에 따른 의료소비자의 만족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경옥-
dc.date.accessioned2015-12-24T09:56:28Z-
dc.date.available2015-12-24T09:56:2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82-
dc.description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병인 이용행태에 따른 의료소비자의 간병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4개 종합병원에 입원하여 개인간병인 혹은 공동간병인을 이용하고 있는 의료소비자(환자 및 보호자)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130명을 편의추출 하여 최종 100부(개인간병인 이용군 : 50부, 공동간병인 이용군: 50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4년 4월 7일 부터 4월 27일 까지 21일간이었으며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전귀숙(2001)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² 검정, t-test, ANOVA와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을 제외하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개인간병인 이용군에서 60세 이상이 88.0%, 평균연령이 69.3세였으며 공동간병인 이용군은 60세 이상이 56.0%, 평균연령이 60.9세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²=15.579, p=.008). 두 군 모두에서 결혼상태는 기혼이, 가족구조는 핵가족이 가장 많았고 입원한 병실은 5인실 이상 다인실이, 진료과는 신경외과가 가장 많았다. 공동간병인 이용군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17.52±4.86으로 개인간병인 이용군의 16.52±4.84보다 높아 신체의존도가 높았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의사소통 정도는 공동간병인 이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아 공동간병인 이용군이 신체의존도가 높고 의식정도가 낮은 중증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공동간병인 이용군에서 환자의 입원기간과 간병인 이용기간이 유의하게 길었고 간병료는 개인간병인 이용군이 모두 5만원 이상이었으나 공동간병인 이용군은 88.0%가 3만원 미만이었다. 간병료 외 추가비용에서 개인간병인 이용군은 46.0%가 지불하고 있는 반면 공동간병인은 24.0%가 지불하였고 유급휴일에 있어서도 개인 간병인 이용군은 60.0% 지급한다고 응답하였으나 공동간병인 이용군은 8.0%만이 지급한다고 응답하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간병인 활동내용에서 간병인이 수행하여도 무방한 일상생활 범주내에서 단순히 시중들어 주는 행위 및 간호사의 지도 감독하에 수행해야 하는 행위의 빈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간호인력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 역시 공동간병인 이용군에서 일부 더 많이 수행하고 있었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간병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총점에서 개인간병인 이용군은 52.88±11.08, 공동간병인 이용군은 58.14±9.64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공동간병인 이용군의 만족도가 개인간병인 이용군 만족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391, p=.001). 영역별로는 간병인의 태도, 간병인의 역할, 간병인의 신뢰성, 간병인의 업무수행 정도, 간병료 5개 영역 모두에서 공동간병인 이용군의 만족도가 개인간병인 이용군의 만족도보다 높았으며 이는 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의료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 정도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r=.269, p=.007)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낮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외 의료소비자의 특성 및 활용현황과 만족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간병인 이용행태에 따른 간병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공동간병인을 이용하는 의료소비자의 만족도가 개인간병인을 이용하는 의료소비자의 만족도보다 유의하게 높아 단지 비용 뿐만 아니라 간병서비스에 대해서도 공동간병인 이용에 만족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현행 건강보험의 지불보상체계나 병원의 재정구조상 환자 및 보호자의 간호요구를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간호인력 확보가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의료소비자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전인간호의 확립을 위한 간호보조 인력의 필요성은 인정된다. 이에 현행 간병인제도는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형태로 개발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정확한 역할 규명을 통하여 간호사의 지도 감독하에 양질의 간병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이를 준수할 수 있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의료소비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간병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영문]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have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social advances for women. So the demand for paid caregivers has increased.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system including service charges, additional costs for paid holidays, insincerity, increased chances of hospital infection and lack of proper maintenance of the treatment environment. While patients hire their own caregivers privately, some hospitals have a public caregiver system, and patients in these hospitals can use caregivers at lower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sent use of caregiver services, to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according to type of caregiver service, private or public, a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lan which will provide good quality service with less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 to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patients in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their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during April, 2004,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patient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Jun (2001).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X²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SPSS computer program was used to facilitat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re female patients used both private and public caregiver services. In the private caregiver group, 88.0% of the patients were over 60 (mean=69.3), compared to the public caregiver group, in which only 56.0% were over 60(mean=60.9).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rital status, family system, medical specialty or room to which the patient was admitted. Most patients were married, members of nuclear families, neurosurgery department patients and shared a room with 5 or more other patients. Although score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public caregiver group were higher (17.52±4.86) than the private caregiver group(16.52±4.84),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communication scores for the public caregiver group were lower, indicating that long term hospitalization of severely ill patients who are more dependent and more confused or comatose(lower mental function) used public caregiver service more frequently than private caregiver service. 2. The duration of use of public caregivers was longer, but the service charge was lower as 88.0% paid under ₩30,000/day. However, all patients in the private caregiver service group payed more than ₩50,000/day, and 46.0% of those in the private caregiver group payed additional costs, but only 24.0% of those in the public caregiver group paid additional costs. 60.0% of the private caregiver group paid for holidays, but only 8.0% of the public caregiver paid for holidays. 3. The total score for satisfaction was high for both groups. For the private caregiver group it was 52.88±11.08, and for the public caregiver group, 58.14±9.64.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t=-3.391, p=.001). In all of areas, the scores for satisfaction of the public caregiver service group were higher than private caregiver service group, ie. caregivers'' attitude, role, confidence, performance, and service charge, and all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4.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ctivities Daily Living and satisfaction (r=.269, p=.007). When Activities Daily Living were low, satisfaction was high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for any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long-term hospitalization of older patients with high dependence resulted in more caregiver service. There were more severe patients in the public caregiver group, but the service charges, additional costs and paid holidays were less. Based on these result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public caregiver service because it was not only less expensive but also had a high quality of service. Thus, caregiver services should be systemized so tha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ill get the best quality caregiver servi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종합병원 유료간병인 이용행태에 따른 의료소비자의 만족도-
dc.title.alternativeConsumer satisfaction with paid caregiving in general hospitals according to type of paid caregiv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Kyung 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