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811

Cited 0 times in

체중변화가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 :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미욱-
dc.date.accessioned2015-12-24T09:48:52Z-
dc.date.available2015-12-24T09:48:5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630-
dc.description역학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순환기계통의 질환 사망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비만은 심혈관계 위험요소를 악화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비만과 과체중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일치하지만 체중의 변화와 심뇌혈관질환의 연구결과는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비감염성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체중변화와 질환과의 역학연구는 대부분 서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역학연구를 통해 서양인 보다 낮은 체중 분포를 보이는 동양인의 체중변화가 심뇌혈관질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한국인 암 예방연구의 일환으로 1992년과 2000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자 488,33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과체중과 정상체중을 체질량지수 25 kg/m2을 기준으로 정의하였다. 1992년과 2000년의 과체중 여부를 판단하여 체중 변화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Time-dependent 분석을 위해 1992년부터 2010년까지 매 2년 마다 총 10회의 건강검진을 받은 191,154명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발생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도를 분석하였다.연구결과 연령과 흡연상태, 음주여부, 운동여부, 수축기혈압, 총 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을 보정하였을 때 과체중을 유지한 군은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과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과체중에서 8년 후 정상체중으로 변화한 군은 심근경색증, 전체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의 발생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베이스라인의 과체중 여부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도는 심뇌혈관질환 발생 전 시점의 과체중 여부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도를 분석한 Time-dependent 분석 결과 보다 과소추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뇌혈관질환 발생 전 단기간의 체중변화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를 분석한 Time-dependent 분석 결과 8년 동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보다 발생위험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결론 본 연구에서는 체중변화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 디자인과 분석 방법에 따라 위험도 추정 값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역학연구를 위해서는 자료의 특성과 연구 디자인에 맞는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의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체중변화가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 :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dc.title.alternative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s and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Mi Wu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